'원안 고수' 박근혜 핵발언 파장 어디까지?
- 세종시 수정 물거품 vs 개인적 소신에 불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지난 7일 오는 11일 발표될 예정인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 "원안이 배제된 (수정)안은 반대한다."고 밝힘에 따라 8일 정치권이 술렁거리고 있다.
특히, 박 전 대표가 심지어 세종시 수정안을 당론으로 추진하게 될 경우에 대해서도 "이는 당론을 만드는 게 아니라 엄밀히 말하면 당론을 뒤집는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비침에 따라 사실상 세종시 수정이 물거품되는게 아니냐는 전망이 벌써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박 전 대표가 이처럼 명확히 세종시 수정에 대한 반대 깃발을 세우면서 친박계 의원들도 이를 중심으로 결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불어, 야당도 여기에 힘입어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할 게 불을 보듯 뻔하다. 결국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이명박 대통령은 당초 '설득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그래도 안되면 어쩔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듯이 세종시 수정 문제를 접을 수 있다. 어짜피 정부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이 이 대통령 임기 안에 이뤄지는 것도 아닌 만큼, 괜시리 이 문제로 국력을 소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세종시 문제는 당분간 잠잠해질 수 있다. 그러나 차기 대선과 관련, 세종시 문제가 다시금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더불어, 한나라당이 이 문제를 놓고 심각하게 대립, 급기야 당이 깨질 가능성도 배제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번 박 전 대표의 발언의 영향력을 작게 보는 목소리도 있다. 박 전 대표의 발언은 단지 개인적 소신이지 이를 친박계 전체의 의견으로 확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로부터 수정안이 제출된 뒤, 여론수렴 과정과 당내 논의 등을 거쳐는 등 다소 긴 시간을 갖은 후, 최종 의원총회에 이 문제가 올라왔을 때는 친이-친박을 떠나 의원들 개개인이 소신을 펼칠 것이란 설명이다.
이와 관련, 수정안에 대한 충청권 민심을 비롯한 전반적 여론이 좋게 나타나면, 이 같은 현상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