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충청민심 돌아서지 않으면?
- 차기 대권 핫이슈로 재부상...2차전 전망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내년 1월 11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26일 충청권 민심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세종시 수정의 열쇠를 충청권이 사실상 쥐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현재 세종시 원안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입장 변화를 위해서도 충청권 민심 변화가 필수적이다.
그 동안, 친이계는 박 전 대표가 '나를 설득하려 하지 말고 충청 민심을 설득하라'고 말한 것을 두고, 충청 민심이 바뀌면 박 전 대표도 세종시 수정을 받아들일 것이란 해석을 내놓았다.
이 경우 한나라당 내 친박계 의원들도 더 이상 세종시 수정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고 결국, 과반수 이상 의석을 갖고 있는 한나라당으로선 세종시 수정을 국회에서 통과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하지만, 충청권이 세종시 수정안에 별 호응을 보이지 않으면서 세종시 원안을 고수할 경우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 의원들은 세종시 수정 반대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야당들은 더욱 '기'가 살면서 세종시 수정에 대한 반대 공세를 펼칠 게 뻔해, 국회에서의 수정안 통과는 사실상 불가능 해진다.
이렇게 되면,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을 더이상 추진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는 어짜피 정부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이 이 대통령 임기 안에 이뤄지는 것도 아닌 만큼, 이 대통령이 더 이상 무리수를 두지 않을 것이란 분석과 맞물려 있다.
이 대통령도 최근 '설득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그래도 안되면 어쩔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이로써 세종시 문제가 끝나는 게 아니라, 새로운 2차전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세종시 수정론자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세종시 수정 문제를 차기 대권과 연계 시키면서 다음 대통령으로 현재 가장 유력한 박근혜 전 대표와 맞설 공산이 크다.
이는 세종시 문제가 다시금 정치적 핫 이슈로 떠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각 정파들이 수도권 표와 충청권 표 등을 놓고 끊임없이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은 물론 치열한 격전을 벌일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결국, 이번에 세종시 문제가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이 문제로 인한 국력 소모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