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12-07 13:12:14
기사수정
시중은행들이 구조조정을 거부하며 버티려는 기업에 대해 신규 여신중단 및 기존 대출금 회수에 나선다.

특히 금융당국은 은행들에 대해 적극적인 기업 구조조정을 독려하는 한편 내년도에 구조조정 진행상황을 점검해 미흡한 은행은 문책키로 하는 등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촉구했다.

7일 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신용위험 평가결과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고서도 자구계획을 마련치 않는 등 구조조정을 거부하는 기업에 대한 제재조치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 관계자는 “법정관리 신청을 제외,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며 버티는 바람에 워크아웃을 못해 채권은행이 담보를 처분해 대출금 회수에 나선 곳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불확실한 만큼 내년 상반기에도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채권은행들이 구조조정에 적극 나서도록 더욱 독려할 것”이라고 밝혀 부실기업 퇴출 또는 워크아웃이 급물살을 탈 것임을 예고했다.

시중은행 관계자 역시 “특별한 사유 없이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일단 신규 여신을 중단하고 추이를 지켜보며 추가 조치를 할 것”이라며 “워크아웃에 들어간 기업들 중에도 관계회사 등으로 돈을 빼돌린 곳이 있으면 대출금을 회수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채권은행들은 법정관리 신청 및 청산절차를 밟는 기업들을 제외한 워크아웃을 거부하는 업체에 대해선 신규대출을 중단하고, 담보처분을 통해 기존여신의 회수절차에 나섰다.

또한 금융당국은 내년 1월부터 차례로 이뤄지는 시중은행 검사에서 기업 구조조정 진행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소극적인 구조조정으로 손실을 안게 되는 은행은 제재할 방침이다.

한편 올해 상반기 금융권 신용공여규모 500억원이상으로 C등급을 받은 건설-조선-해운사와 대기업 54개사 가운데 12곳은 워크아웃이 무산됐으며 이중 8곳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아울러 지난 7월 중소기업 1차 신용위험 평가(여신규모 50억원이상-500억원미만)에서 C등급으로 분류된 77곳 중 9곳은 워크아웃이 이뤄지지 못했고 2개 업체는 법정관리를 택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55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