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해도 너무 한다'
- 임금비중 52%에 최근 4년간 파업따른 직접피해 174억원
노조 전임자 축소와 신입사원 임금 삭감, 연봉제 도입과 유급휴일 축소에 반발한 철도노조 파업이 이틀째 접어들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27일 노동계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철도노조 파업으로 인해 현재 전국 철도화물 수송이 전면 중단되고 있으며 여객수송의 경우 아직 차질은 없지만 곧 파업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이 와중에 최근 4년간 철도노조 파업으로 코레일의 직접 손실규모가 총 17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급증한 채무는 아랑곳하지 않는 강짜파업에 국민적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로 국토해양위 소속인 한나라당 신영수 의원은 27일 코레일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공사가 노동쟁의로 174억원의 피해를 입었다면서 운행중단 때문에 동력비 절감을 제외하고, 영업손실액만 계산할 경우 200여억원에 달하는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특히 내년 계속되는 철도노조 파업으로 인해 개인과 물류기업 등 철도 이용자들이 감수할 불편, 사회비용 등 간접피해는 제외하고도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코레일이 고용하고 있는 노조 전임자는 현재 61명으로 이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액이 20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신 의원은 인건비 비중이 매출액의 52.3%에 이르고 있다면서, 코레일의 인건비비중이 과다한 상황이라고 언급한 뒤 해결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철도노조측은 코레일이 요구하고 있는 노조 전임자 61명에서 20명으로 축소와 신임사원 임금삭감, 연봉제 도입, 유급후일 축소 등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신 의원은 “현재 코레일의 부채가 8조2,000억원에 달한다. 빚더미인 회사경영상황에서 노동쟁의로 고객들까지 떠나보낼 생각이냐”면서 “노사문제 해결이 선행되지 않고 예산지원을 해달라고 국가에 손을 벌리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철도노조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