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세종시 논란, 결론은 어떻게?
- 이명박-박근혜계 '타협할 것이다' vs '깨질 것이다'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계가 세종시 수정과 관련, 타협점을 만들어낼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친박계로 분류되는 허태열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한나라당 대전시당 정치대학원 특강에서 "세종시 원안을 수정하려면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하는데, 만일 개정안이 나오더라도 다수 여당인 한나라당의 의견일치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 최고위원은 또 "세종시는 행정중심의 기조 속에서 자족도시가 돼야 한다."며 "자족기능이 걱정이라면 원안에 플러스 알파를 하면 되는 것이다."고 원안고수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가 허 최고위원의 말대로 세종시 원안을 고수할 경우, 친이-친박 간 갈등은 극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크다. 뭣보다 친이계도 세종시 수정에 '올인' 태세이기 때문이다. 친이계의 정점인 이명박 대통령은 '백년지대계'라며 세종시 수정에 방점을 이미 찍은바 있다.
이런 가운데, 친이계 공성진 최고위원은 1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부처 이전으로 세종시가 발전할 수 없음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공 최고위원은 "강남이 발전한 게 과천 정부종합청사와 가깝기 때문이라는 논리가 나오고 있다."며 "그러면 강북이 비교적 쇠락한 게 광화문에 청사가 없어서 그러냐?"고 반문했다.
서울 강남을이 지역구인 공 최고위원은 "강남의 경우는 많은 교육 기관 이전에 따라 중산층에게 동기를 부여했고, 기업과 교통체제 등 복합적 자족 기능이 어우러졌기 때문에 발전했다."며 "행정기관 근린성과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런 식의 논리라면 세종시가 행정중심도시로 이뤄질 경우 서울과 수도권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고도 지적했다.
정부의 대안이 나올때까지 논의를 중단하자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한나라당 내 세종시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드는 분위기다.
하지만, 결국은 세종시 수정과 관련해 친이-친박계가 타협을 볼 것이란 관측도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 세종시특별위원회위원장인 정의화 최고위원은 이날 SBS <전망대>에 출연 "논의를 해가는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님을 포함한 친박 의원님들도 생각이 변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날 국회 의원회관 내 한 분석통은 "친박계가 100% 세종시 원안 고수 입장을 밝히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벌써 친박계 김무성 의원이 세종시 수정 쪽에 서지 않았느냐."고도 반문했다.
그는 특히 "만약 세종시 문제 갖고 친이-친박이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 그 것은 분당을 의미하는 데, 그렇게까지 가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