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내홍우려에 친박중진들, 휴전역설
- "정부 대안이 나오기 전 성급한 논의는 금물"… "서로 자극하지 말자"
한나라당내 세종시 논란이 갈수록 확산되는 가운데 친박계 중진들이 성급한 논의를 경계하며 서로 자극하지 말고 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 11일 한나라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선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계파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대해 그동안 원안고수의 입장을 견지해온 친박계 중진들이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의 의사와는 별개로 친박계 중진들은 당 내홍사태가 벌어져선 안된다고 지적한 뒤 “서로를 자극하지 말고 휴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고 조해진 대변인이 전했다.
실제로 친박계 이경재 의원은 “이런저런 보도가 나오는데 내용들이 그대로 간다면 감당키 어려운 대목도 있다. 정부안이 나올 때까지 기대를 부풀리는 논의는 금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요즘 본회의장에 있으면 조마조마하다”면서 “서로 자극하지 말고 자제해야 한다”고 세종시를 둘러싼 당내 논쟁을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친박계 이해봉 의원 역시 “정부안이 나올 때까지 서로를 자극하지 말고 모두 입을 닫아야 한다”고 제안했으며 김영선 의원의 경우 “온통 세종시 얘기뿐인데 다른 지역의 발전도 시급하고 다른 지역 발전방안도 추진돼야 한다”면서 “당에서 책임지고 세종시 외에 다른 지역들의 발전방안을 추진해주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혀 회의 참석자들의 관심을 촉발했다.
이에 대해 정몽준 대표는 “당내 세종시특위는 수정안을 만들기 위한 특위가 아니다”란 점을 분명히 한 다음 “원안 그대로 가야 한다는 분들도 참여한다. 세종시와 관련해 정부안이 나온다고 하는데 부분적으로 대안이 나올 때도 (정부가) 당과 협의토록 부탁했다”고 밝혔다.
한편 세종시특위 정의화 위원장은 “특위 인선에 대해 오늘(11일)까지 협의하고 내일(12일) 오전 발표한 뒤 오후에 첫 회의를 갖겠다”면서 “특위는 수정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정부에 전달하고 조언하는 기구”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세종시특위 구성을 놓고 이젠 없어져야 할 친이-친박 얘기가 나오는 것은 유감”이라며 “특위를 운영하는 동안 이런 말들이 없어지도록 잘 해보겠다”고 강조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