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에 위해를 가한일 없고 지원
- 민족문제연구소 일부 구성진들은 '친북' 성향
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아들 박지만 씨는 지난달 26일 ‘친일인명사전’에 박 전 대통령을 넣지 말라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냈지만 6일 기각됐다.
지만 씨는 앞서 신청취지에 “박 전 대통령은 만주군이었지 일본군으로 복무한 것이 아니며, 조선인 또는 독립군에게 위해를 가한 사실이 없다” 등의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기각됨에 따라 민족문제연구소는 8일 예정대로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한다. 연구소는 앞서 지난 5일 박 전 대통령 관련 기사가 실린 ‘만주신문’ 1939년 3월 31일자 기사의 사본을 공개했다.
기사에는 “박 전 대통령이 문경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만주국의 군관으로 지원했지만 연령 초과로 1차에 탈락하자 39년 재차 응모하며 '한 번 죽음으로써 충성함. 박정희'라는 혈서와 채용을 호소하는 편지를 지원서류와 함께 제출했다”고 돼 있다.
연구소는 이에 대해 “박 전 대통령의 언행이 담긴 객관적인 자료를 공개해 불필요한 논란을 막고 이성적인 토론을 위한 계기로 삼기 위해 기사를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 박 전 대통령의 혈서와 관련된 기사만 공개 됐을 뿐, 혈서가 담긴 문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공개된다 하더라도 그 혈서가 박 전 대통령의 것인지도 알 수 없다. 또한 혈서를 쓰고 지원한 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그것이 스스로 간 것인지,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는지에 대한 시대배경도 나타나 있지 않다.
스스로 갔다고 해도 그것은 친일이 아닌 위장전술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교사였던 박 전 대통령은 지식인 중 한 사람으로 제대로된 군시설조차 없던 대한민국을 위해 일부러 만주군을 선택했다는 것. 이를 반영하듯 공개된 신문에는 박 전 대통령이 일본에 평생 충성한다는 맹세를 했다고 돼 있지만 실제로 박 전 대통령은 1년 남짓한 기간을 근무했을 뿐, 1945년 광복 이후에는 만주군 경험을 토대로 대한민국에서 국군을 창설했다.
더불어 기사가 공개된 시점도 묘하다. 지만 씨의 가처분 신청으로 공개했다고 하지만 진작부터 자료를 갖고 있었을 연구소가 현 시점에 공개한 것은 의심의 시선이 존재한다.
박 전 대통령의 여파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는 직격탄이다. 정치적 입지가 큰 박 전 대표는 여당이나 야당을 막론하고 견제 세력이 존재해 그를 무너뜨리기에는 ‘친일’만한 소재가 없다. 지난 정권 10년 동안 바뀐 국민정서상 통일운동가로 포장된 ‘북한 빨치산’이나 색깔론으로 치부되고 있는 ‘빨갱이’ 같은 단어보다 더 큰 자극을 주는 것이 ‘친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연구소의 일부 구성진들은 ‘친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심지어 이적단체로 판결 받은 단체의 상임대표나 북한 김일성을 독립운동가로 인정하자고 주장한 인사까지 들어 있어 종북주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박 전 대통령을 폄훼하기 위해 ‘친일’이라는 소재를 이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가장 큰 문제는 공개된 ‘만주신문’의 존재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공개된 것은 사본이라 진위에 대한 의심이 존재하며 조작됐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또 이 신문이 어떤 신문인지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도 보이지 않을뿐더러 어떤 기사의 내용을 주로 게재하는 신문인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당시 존재한 신문이라면 일본의 제국주의를 찬양하며 이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을 것이고, 박 전 대통령의 지원 또한 과장해서 미화시켰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 같은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적개심을 갖고 있는 일부 매체들은 평소 자랑하던 냉철한 이성을 상실한 채 앞 다퉈 기사를 올리기 시작했고, 검색어의 조회수를 노린 매체들 또한 국가적으로 민감한 사항임에도 이 신문에 대해 알아보지도 않고 기사를 생산해냈다. 심지어 같은 날 검색어로 떠오른 장동건-고소영 열애를 이용해 음모론을 연결시키며 조회수를 올리기도 했다.
특히 한 매체는 조중동에 대한 일부 대중들의 반감을 이용, 박 전 대통령의 혈서와 관련된 기사 한 줄을 쓰지 않았다고 맹비난하기도 했지만 조선일보 등은 온라인지면을 통해 이미 기사를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만주신문’의 기사만으로 박 전 대통령이 친일 행위를 했다고 단정 짓는 것은 단편적인 판단이다. 연구소가 밝힌 신문기사 외에 박 전 대통령이 조선인이나 독립군에 위해를 가한 사실이 적시된 내용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대통령이 된 이후 친일 행적은 더더욱 전해진 바가 없다.
결과적으로 국민들 앞에서는 친일을 혐오하는 것처럼 보이려는 이들이 박 전 대통령의 친일 행적을 밝힌다고 하면서 일제강점기 때 신문을 친일의 근거로 제시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박 전 대통령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폐허가 된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사실이며,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박 전 대통령은 존경 받는 대통령으로 항상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의 역사적 평가를 위해서는 좀 더 객관적인 자료와 친북(親北)을 제외한 편향적이지 않은 인사들을 주측으로 해야 올바른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프런티어타임스 frontiertime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