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10-30 11:21:06
기사수정
10.28재보선이 끝난 한나라당 내부에 전운이 돌고 있다.

세종시 논란과 관련한 것으로, 재보선이라는 민감한 사항을 놓고 그동안 자제됐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 수정론의 선봉에 서왔던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은 30일 기자에게 '필요하면 싸움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비쳤다.

친이계로 분류되는 차 의원은 "재보선 전(前)과 후(後)가 크게 달라질 것이니 한번 보시라."며 "잘 될 것이다."고도 말했다.

차 의원은 특히, 세종시 수정에 반대하는 세력을 향해 "견강부회(牽强附會)"라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자기 입장을 유리하게 내세우기 위해 어떤 말을 끌어다가 억지 논리에 맞추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를 사용한 것이다.

이는 박근혜 전 대표가 얼마전 원칙론을 내세우며 세종시 수정 불가 입장을 밝힌 것과 맞물려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여권 일각에선 10.28 재·보선에서의 사실상 패배로 세종시 수정 추진 동력이 약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차 의원의 발언은 오히려 정반대 양상을 예상케한다.

이런 가운데 정운찬 국무총리는 지난 29일 "박근혜 전 대표는 세종시법을 만든 주역으로 마땅히 할 수 있는 말씀을 했다."면서도 "세종시 문제는 정치적 신뢰문제이기 이전에 막중한 국가 이익이 걸린 대사(大事)라는 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 수정 의지를 확인했다.

정 총리는 "박 전 대표를 만나 정말 무엇을 생각하는지 듣고 (차후) 정리되는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박 전 대표도 상당히 동의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도 했다.

하지만, 친박계는 정 총리의 이 같은 발언에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가 오히려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임동규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 10명은 세종시의 성격을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녹색 첨단복합도시'로 변경하고, 행정도시로의 중앙부처 이전 계획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같은날 국회에 제출했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는 이상 세종시를 둘러싼 '한판' 가능성은 점점 짙어가는 느낌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51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