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10-30 08:12:36
기사수정
해외 유학시절 북한의 대남공작원에게 포섭돼 17년간 국내에서 암약, 사회지도층 행세를 하면서 각종 군사기밀 등을 넘긴 대학강사 간첩이 구속 기소됐다.

이와 관련, 국가정보원과 수원지검은 29일 인도 유학당시 북한 35호실에 포섭돼 귀국한 뒤 육군 정훈장교, 민주평통 자문위원, 통일교육위원, 정당 운영위원, 대학강사로 활동하며 북한에 기밀 등을 넘긴 이 모(37.남)씨를 지난 27일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씨는 밀입북과 조선노동당 가입은 물론 북한의 지령에 따라 미화 5만600달러의 공작금을 받고 정계진출을 노리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씨는 또 지난 2002년 1월 중국 북경에서 군복무 중 수집한 군 ‘지상작전’, ‘미 작전요무령’, ‘육군대학 교육자료’를 전달한 것을 비롯해서 싱가포르와 캄보디아 등지를 오가며 북한에 국정원 3급비밀인 ‘안보정세설명회’자료 등 군사 및 국가기밀을 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심지어 이 씨는 2007년엔 중국 북경에서 GPS로 탐지한 군부대, 비행장 위치 좌표값 총 34개를 북한 공작원에게 넘겼으며 웹하드와 CD, USB 등을 이용해 국방-대북관련 자료와 군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지도, 해외주재 무관명단까지 수집해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과 검찰에 따르면 그는 북한의 공작금으로 학업을 계속해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정당 대의원-운영위원으로 활동하며 공작원에게 정계진출도 지시받는 등 북한이 제도권에 침투한 간첩을 통해 활동기반을 마련해 고급정보를 입수하려 한 의도가 확인됐다.

이에 대해 국정원과 검찰은 해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북한의 포섭공작 및 장기간 간첩활동이 확인됐으며 방대한 군사기밀을 GPS-CD-USB-노트북 등 첨단기기를 이용했고 제도권에 침투한 간첩이 여론주도층으로 활동한 만큼 보안관리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국과 동남아 등지에서 포섭활동을 벌이는 북한 공작원들의 유혹에 넘어가지 말 것은 강조하면서 유학생 및 해외동포들의 안보 경각심을 거듭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17년간 북한의 간첩으로 암약해온 피의자 이 씨는 모 대학 경찰경호행정과 강사로 지난 1992년 10월 인도 델리대학 유학중 북한 35호실 공작원 리진우에 포섭돼 1993년 6월 1차 밀입북하고 1994년 6월 2차 밀입북해서 조선노동당에 가입한 것이 조사결과 밝혀졌다.

또한 1997년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중국, 캄보디아, 싱가포르, 태국 등지에서 9차례나 리진우를 만나 군사기밀 탐지지령을 받고 육군 작전교범, 군부대 위치 등 군사기밀을 넘겼다.

아울러 이 씨는 북한 공작금 총 5만600달러를 수수하고 지난 9월 체포 및 압수수색 당시 북한원전 ‘장군님의 혁명 시간을 따르자’ 등 이적 표현물 20점 등 모두 30종에 160점에 달하는 증거물품이 압수됐고 9월11일 구속에 이어 27일 기소됐으며 28일 결국 검찰에 송치됐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51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