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옥임 “남북협력기금, 北 해커 양성 우려”
- "북한에서 추정되는 해커들, 미국 CIA 수준 과언 아니다"
통일부가 북한에 사이버 보안의 핵심기술인 네트워크 관리와 운영교육을 지원한 것이 오히려 해커들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왔다.
정옥임 한나라당 의원은 27일 ‘mbn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인터넷 네트워크 관련 기술교육을 가르치다 보면 해커가 양성되는 것”이라며 “그동안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 북한에 소프트웨어 사업 제공, 관련 책자 제공, 교육훈련 등 여러 프로그램을 가동했고 이 같은 프로그램에는 남북교류협력기금이 들어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실제 교육프로그램을 받는 학생들은 북한 김일성대학 등의 우수한 학생들로 이들을 합하게 되면 우리나라 웬만한 대학 컴퓨터학과 학생들의 열배가 넘는다”라며 “이는 북한에서 추정되는 해커들 수백 명에 이르러 미국 CIA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북한의 하드웨어 기술은 갈 길이 멀지만 소프트웨어 기술은 굉장히 많은 발전을 했다. 최근 인터넷 보안 기술유출 등 여러 가지 해킹 문제에 있어 북한이 배후에 있다는 의심을 받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북교류협력사업은 인도주의원칙에서 남북한 화해와 상생을 위해 좋지만, 그것이 다시 우리에게 사이버 공격능력이 돼서 돌아올 수 있다”라며 “통일부 장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해 총체적으로 재검토 하고 지원사업에는 꼼꼼히 따져보겠다고 했다”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우리나라도 공격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방어와 예방 차원에서 전문인력이 꼭 필요하며 남북관계의 순기능 속에 역기능이 있다면 반드시 시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최정숙 기자 jteme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