昌, 고교별 수능성적 공개 찬성...與 손들어줘
- "진정한 교육개혁 위해 학력 차는 공개돼야"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는 최근 고등학교별 수능시험 성적이 공개된 것과 관련, 찬성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성적공개를 추진한 정부.여당에 상당한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이 총재는 14일 당 5역 회의에서 "고교 수능시험의 학교별 성적이 공개되면서 엄청난 학력 차이가 드러났다."며 "고교 평준화 교육의 허상이 그대로 백일하에 드러난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어 "이러한 학력 차의 공개를 놓고 찬성하는 쪽에서는 알 권리를 내세우고 있고, 반대하는 쪽에서는 학교의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며 "하지만, 이 문제는 알 권리나 학교 서열화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 개혁의 차원에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학교의 학력 차는 공개되어야 한다."며 "그리하여 뒤쳐진 학교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과 투자, 그리고 교사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학력차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교육개혁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하지만 "이 같은 학력차로 학교 등급화를 하고 이를 대입 전형의 자료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선배나 학교에 책임이 있는 학력 차이를 가지고 그 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일종의 연좌제"라며 "학력 차의 측정과 공개는 오직 학교의 학력을 향상시키고 학력차를 줄이는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성적공개에 직접 관여한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고교등급제는 적용을 해도 차별이고요. 적용을 하지 않아도 역차별이다."고 언급했다.
조 의원은 "우리나라 40% 학교의 전교 1등이 다른 60% 학교에 가면 전교 50등도 못한다."며 "그런데 사실 고교등급제를 적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보면 60% 학교의 5,60등 되는 학생들에게 오히려 역차별이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우리가 대학을 입학사정 하는데에 있어서 수능성적, 내신성적 이런 걸로 아이들을 판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 자료를 대학이 어떻게 쓸까는 사실 대학 자율로 맡겨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입학 사정관 제도가 같이 시행된다."며 "입학사정관 제도는 기본적으로 이런 수능성적이나 양적인 지표를 보는게 아니라 사회적으로 잠재력이라든지 품성이라든지 이런 질적인 지표를 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런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자료와 아울러 입학사정관제에서 보는 품성이라든지 질적인 자료가 같이 좀 혼합될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