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10-08 15:58:55
기사수정

에이즈 바이러스인 HIV 양성반응자 혈액 관리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이 8일 배포한 국감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 4.5년간(2005~2009.6) 에이즈 양성반응자(미결정자 포함) 3,990명 중 헌혈경력자는 37.4%인 1,492명이었다.

이 뿐만 아니라, 본래 HIV 감염자가 발견되면, 바로 과거 헌혈 경력을 조회하고 헌혈 경력이 확인될 경우 감염자의 혈액이 들어간 혈액제재의 출고를 유보.중단시키도록 되어있지만 이들이 헌혈한 혈액제제 중 출고 차단 조치가 이뤄진 실적은 47건에 불과해 최소한 95%이상의 혈액 제제가 이미 출고되었다는 게 신상진 의원의 설명이다.

더불어, 이 혈액 제재를 수혈 받은 사람들에 대해서 질병관리본부는 역추적을 통해 HIV 감염 여부를 조사하고 있으나 소재 불명이나 조사대상자의 확인 거부 등으로 역추적에 실패한 사례가 지난 2.5년간(2007~2009.7) 176건에 달했다.

신 의원은 이와 관련, "확인 거부 등 적극적인 조사 거부 행위자에 대해서는 에이즈 환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 개선, 감시보다는 치료와 지원이 중심이 되는 환자 관리 시스템 마련, 헌혈자 및 수혈자 DB의 보존 및 활용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얼마든지 감시체계로 편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48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