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임진강 야영객 참사 인재로 고강도 문책
- 당직자 근무태만과 관계기관의 유기적 협조 미비로 사고 키워
임진강 참사가 인재였다는 정황이 경찰 수사로 속속 드러나고 있어 관계자들의 사법 처벌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kbs가 보도했다.
KBS의 우한울기자는 이 보도에서 수자원공사는 경보시스템 장비를 참사 발생 이틀 전에 새것으로 교체했는데 어찌된 일인지 이 시스템이 갑자기 먹통이 돼 버렸다고 전했다.
당시 컴퓨터는 즉시 '통신 장애' 사실을 사고 당일까지 무려 26차례나 문자메시지로 담당 직원에게 알렸고 마지막 문자가 보내진 것은 참사 당일 새벽 5시 반으로 강물이 야영객을 이미 덮쳤을 때다..
그러니까 고장난 홍수경보시스템은 먹통이 돼 잠을 잤고 수자원공사는 물이 불어날 대로 불어난 6일 오전 6시 반에야 상황을 파악 대피경고방송을 했지만 그 때는 이미 늦어버린 시간이라고 KBS 우기자는 당시 상황을 정리해서 전했다.
임진강의 야영객 참사사태에 대해 정부는 경보 발령기의 무작동 내지는 오작동, 당직 근무 태만, 수위 측량 시스템의 관리 부실과 관계기관과의 협조 미비 등 전반적인 근무자세 해이가 이번 사태를 불러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편, 경찰은 한국수자원공사 직원들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할 것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수자원공사는 임진강 건설단장 등 관계자 5명 전원을 직위해제하고 이번에 문제가 된 직원들의 재택근무제도를 폐지했다고 KBS는 상세히 보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