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철강 톱3-빅3’ 진입위해 국내 4천만톤 생산체제 구축
- 글로벌 철강 톱3-빅3’ 진입위해 국내 4천만톤 생산체제 구축

대한민국 대표기업인 포스코가 연간 생산량 500만톤의 세계최대 고로인 광양제철소 4고로에 불을 지피면서 ‘글로벌 톱3-빅3’ 진입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조업 36년만에 세계 최초로 단일고로 연산 500만톤 시대를 개막한 포스코 정준양 회장은 경영 효율화를 통한 내부적인 체질변화와 함께 중국-인도를 중심으로 세계시장을 겨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고 나섰다.
우선 포스코는 5,500㎥ 규모의 광양 4고로 개수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지난 21일 화입식을 갖고, 그동안 국내최대였던 광양 3고로 4,600㎥보다 900㎥가 더 큰 세계최대 고로를 만들어 연산 500만톤체제를 구축했는데 이는 연간 국내 자동차산업이 소비하는 철강량과 같다.
이에 대해 철강업계는 포스코가 세계최대 고로를 준공한 것은 3,800㎥급 고로 7기의 가동을 통해 쌓은 노하우와 일본-유럽의 기술을 고유기술로 발전시켰기 때문이라고 평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 정준양 회장은 “철강 불모지인 한국에 고로를 가동한지 40년이 안 돼 5,500㎥의 초대형 고로시대를 열게 된 것은 포스코의 설계-시공능력과 운전-정비기술이 세계 최고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광양 4고로의 성공적 개수가 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5,000㎥이상급 초대형 고로는 일본 新日鐵 오이타(5,775㎥), 러시아 세베스탈 체레포베츠(5,580㎥), 新日鐵 기미츠(5,555㎥), 독일 TKS 슈벨게른(5,513㎥) 등이 있지만 쇳물 생산량에선 광양 4고로가 일일 출선량 1만4000톤이상으로 세계최고의 자리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포스코는 ‘글로벌 톱3-빅3’란 목표를 달성키 위해 국내에 4,000만톤의 생산체제 구축을 포함해 아시아에 역내 비즈니스허브를 구축, 해외투자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세계적인 생산기지인 포항-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인도-중국-베트남-멕시코 등과 연계, 글로벌 생산 및 판매 네트워크를 가동해 해외투자로 인한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정준양 회장 취임을 계기로 내부적으로 ‘글로벌 DNA’를 갖추는 작업에 착수했는데 해외법인 주재원들의 소통강화를 위해 법인별 영어 및 현지어를 사용토록 했다.
아울러 임직원 어학능력 측정시험을 ‘스피킹 테스트(Speaking Test)’ 위주로 전환했으며 지난 5월 열린 임원회의는 영어로 진행됐고 향후 회의-보고도 영어사용이 전사로 확대된다.
한편 포스코는 제철소 신규건설 이외에 철강-원료업체 M&A(인수합병)을 비롯해 합작사업, 지분참여로 다양한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데 베트남-멕시코-미국-인도가 타깃이 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베트남엔 연산 120만톤 냉연공장이 오는 10월 완공되며 현지소재 유일의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인 ASC사 인수가 확정돼, 동남아 시장진출의 교두보가 마련되는 셈이다.
또 인도에선 지난 4월 푸네시에 철강 가공센터가 준공된데 이어 마하라스트라주에 연산 45만톤의 아연도금강판공장이 2010년까지 건설되며 오리사주소재 일관제철소 건설도 추진돼 현지 철광석을 활용한 철강재는 물론 냉연제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게 된다.
이밖에도 포스코는 연산 40만톤의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과 미국 API 강관공장을 준공할 예정인데 태국-인도-일본 등 7개 가공센터를 신설, 글로벌 경영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회사 관계자는 “포스코는 현재 12개국 39개 철강가공센터를 운영 중이며 각 생산기지마다 현지인들을 주로 채용하고 시장을 공략해 글로벌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또 최근 세계적인 철강산업 구조조정기에 광산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나 지분투자를 통해 철광석과 석탄 등 원료와 부재료의 안정적인 확보에 나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원료인 니켈 확보를 위해 지난 2006년 세계최대 니켈 보유국인 뉴칼레도니아 SMSP사와 광산개발-제련업체를 설립, 30년간 사용할 니켈광석을 확보키도 했다.
더불어 작년엔 연산 3만톤 페로니켈공장을 준공했으며 향후 광산개발 참여를 확대하고 기존광산 지분인수로 직접개발을 통한 원료확보율을 17%에서 30%로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