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박한 개각-靑개편에 '쇄신정국' 재부상
- 李대통령, 8.15 ‘중도실용’노선 강화할 집권2기 국정기조 표명 앞서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말과 8월초 휴가가 절정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임박한 개각 및 청와대 개편을 놓고 정치권에선 뜨거운 감자인 쇄신정국이 또다시 급부상중이다.
30일 청와대와 정치권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은 내달 3일부터 6일까지 여름휴가를 떠나지만, 집권2기 국정운영 구상과 개각-청와대 개편을 놓고 고심 중이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 여권에선 ‘중도실용’ 강화 및 ‘근원적 처방’을 제시한 대통령이 강한 국정 드라이브를 펼치려면 국무총리와 대통령실장의 교체 등 대규모 인적쇄신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가-민심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하면서도 구체적인 입장표명 및 언급을 가급적 자제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데, 일각에선 미디어법 국회처리와 검찰총장 인선을 계기로 상황이 호전됐다는 판단아래 쇄신강도가 낮아질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더군다나 신임 검찰총장으로 내정됐다 낙마한 천성관 전 서울중앙지검장의 사퇴로 인사검증이 도마에 오른 가운데 대규모 쇄신에 따른 인사검증의 부담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정가에선 청와대의 인사검증 부담 때문에 개각 폭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으며 미디어법 처리를 통해 여권은 물론, 우익정당들을 아우르는 공조 및 결집현상이 두드러져 대통령의 정국인식에 따라 개각 및 청와대 개편결과가 예상과 달라질 것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이 와중에 앞서 제기된 충청권 출신인사 총리 기용론이나 친박인사 입각론 등도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하고 있으며, 정치적 고려에 따른 안배와 정치인 기용을 가급적 배제해온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에 맞춰 실질적 능력위주의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청와대 관계자는 “한나라당에서 건의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에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라고 전제했으나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은 정치적 고려보다 능력을 중시한다는 것이 수차례나 입증되지 않았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 오는 8.15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집권2기 국정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대통령 입장에 따라 총리-대통령실장 교체가 이미 구체화됐을 것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만일 상황이 여의치 않아 개각 폭이 축소돼도 내각의 수장을 바꿔서 국정쇄신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고, 여당이 요구한 청와대 개편요구까지 상당부분 수용한 셈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나라당은 빠르면 내달 중순경으로 예상되는 개각시점에 맞춰 개각 폭이 어느 정도가 될 것인지와 정치인 입각은 어떻게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특히 이번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대통령의 국정쇄신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로 당장 10월 재보선 및 내년 6월 지방선거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여당 입장에서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를 교체하자는 내부여론을 무마하기도 어렵고 대권행보에 나설 박근혜 전 대표, 이재오 전 최고위원, 정몽준 최고위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잠룡들이 당 지도부 구성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