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丁대표 사퇴-장외투쟁 나섰지만…
- 소속의원 총사퇴는 사실상 무산… 휴가철 겹쳐 효과도 ‘글쎄’
미디어법 단일쟁점에 올인했던 민주당이 결국 관계 법안이 국회 본희의를 통과하면서 앞서 제기한 소속의원 총사퇴 카드 때문에 심각한 딜레마에 빠졌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당초 미디어법 통과직전 한나라당을 비롯한 우익정당들의 법 처리에 반대해 의원직 총사퇴를 거론하는 강수를 뒀는데, 막상 정세균 대표와 천정배-최문순 의원만 사퇴서를 냈을 뿐 나머지 80여명의 사퇴는 슬그머니 꽁무니를 빼는 형국이다.
이와 관련, 정 대표는 “(자신이 보관한 의원직 사퇴서를)신중하게 처리하겠다. 현안은 언론악법을 무효화시키는 것”이라면서 100일간의 장외투쟁 동력으로 삼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그는 당장은 미디어법에 대한 반대여론 확산에 주력하지만 중장기적으론 서민경제 회생이 중요한 과제라면서 여권에서 추진하는 민생위주 행보와 동일한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더군다나 8개월을 끌어온 미디어법을 직권상정을 통해 처리한 김형오 국회의장은 정 대표 등이 제출한 사퇴서를 처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결국 ‘의원직 총사퇴’는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이며 장외투쟁 역시 여름휴가철이 겹쳐 효과가 약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사실 사퇴서를 정 대표에게 제출하고 장외투쟁을 하고 있더라도 국회의원직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만큼 세비가 지급되는데 대해 국민여론은 ‘정치 쇼가 아니겠냐?’는 반응이 많다.
이에 대해 한 야당 관계자는 일반 국민들에게는 쇼로 보일 수 있지만 의원직을 내건다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라며, 의원직 사퇴서를 보관하고 있는 것은 한나라당이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비정규직법 등 쟁점법안을 단독 처리할 경우에 대비한 것이라고 강변하기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