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한국전 휴전일에 '弔旗' 달아라" 백악관 포고문 발표
- 美, 하원과 상원 1953년 7월 27일 휴전일 '한국전쟁 참전용사 인정법안' 가결
오늘(27일)은 1953년 7월 27일 6.25 한국전쟁을 휴전한지 56주년이 되는 날이다.
미국은 이날 6.25전쟁 휴전 일에 성조기를 다는 내용을 담은 ‘한국 전쟁 참전용사 인정법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24일 상원도 이를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버락 오바마(obama) 미국 대통령도 27일을 ‘한국전 참전용사 휴전일’로 지정하고 연방정부의 모든 기간이 성조기를 조기(弔旗) 게양토록 24일 지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백악관 포고문에서 ‘판문점에서 휴전 협정이 체결되고 56년이 흐른 뒤에도 미국인들은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용기와 희생에 감사하고 있다면서 참전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감사를 표시하는 적절한 행사와 활동으로 ’한국전 참전용사 휴전일‘을 지켜 줄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전에 참전했다가 사망한 미국인들에 대한 추모의 뜻으로 연방정부의 모든 기관과 관심이 있는 단체와 조직 그리고 개인들이 27일 성조기를 조기로 달 것을 요청 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미국은 1953년 7월 27일 6.25전쟁이 휴전 조인된 이래 처음으로 27일을 기해 미 연방정부가 휴전과 관련된 공식행사를 개최하고 미국 전역에 성조기가 조기 게양되어 휘날리게 되었다.
이렇게 미 행정부와 의회가 동시에 6.25 전쟁 휴전 일을 기념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미국에서 ‘잊혀진 전쟁’으로 불렸던 6.25 전쟁이 본격적으로 재평가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되고 또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상징적인 조치로 평가 된다고 조선일보 이하원 워싱턴 특파원은 보도했다.
한편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27일을 ‘한국전 참전용사 휴전일’로 지정해 성조기를 조기(弔旗) 게양토록 하고 미 의회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인정법안’이 통과된 배경에는 재미교포 ‘한나 김’의 역할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녀는 이 법안이 탄생되기 까지 클린턴 장관을 포함해서 하원의원 435명의 사무실 모두를 방문해 법안 지지를 설득하며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 김’은 여섯 살 때 미국에 이민해서 캘리포니아주에서 고교를 마치고 서울대에서 학부 과정을 이수 한바 있는데 그는 “한국에 머물면서 6.25 전쟁의 의미와 참전용사들에 대한 예우가 필요함을 절감했다고 조선일보 이하원 워싱턴 특파원은 덧붙였다.
<조선일보 7월 27일자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