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법 통과, 靑개편-개각 가속도 붙나
- 자신감 회복한 李대통령, 8.15 앞두고 ‘근원적 처방’차원 국정쇄신

▲ 이명박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지난해 촛불시위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정국 등 좌익 야당에 밀려 수세적 입장이던 여권이 미디어법 처리를 계기로 국정운영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있다.
23일 정치권과 청와대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은 그동안 미디어법안 통과를 기점으로 내각과 청와대 인적개편을 단행한 뒤, 8.15 광복절에 국정쇄신을 천명하는 등 ‘근원적인 처방’을 마련해 집권 2기 국정운영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해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여권은 근 8개월간 여야가 평행선을 달린 미디어법이 지난 22일 직권상정을 통해 전격 처리됨에 따라 한나라당이 거대 집권여당으로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고 이후 국정쇄신을 통해서 국민들을 위한 민생행보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더불어 빠르면 7월말로 예상되는 개각과 청와대 참모진 개편논의가 급부상했는데 지난 21일 대통령은 “물러날 때 물러나더라도 소신껏 일했으면 좋겠다”며 개각 가능성을 거론했다.
청와대는 일단 이번 발언이 개각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4.29재보선 참패이후 여당을 중심으로 쇄신정국이 한창이던 지난 6월초 개각설이 제기된 이래 침묵을 지켜왔던 대통령이 처음으로 개각에 대한 문제를 공식 석상에서 언급한 만큼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와중에 친박계 인사들에 대한 입각을 포함한 정치인들의 대거 기용이 점쳐지는 가운데 청와대의 각료 인선작업이 이미 마무리 단계라는 말도 정치권에서 회자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정가 일각에선 대통령이 8월초 휴가를 통해 정국구상을 정리한 뒤 8월 중순경 개각을 단행할 것이란 관측이 유력했지만, 미디어법안 가결로 국정쇄신의 돌파구가 마련된 만큼 개각 및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 상당히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청와대와 정치권 일각에선 빠르면 당장 7월말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동시에 단행될 여지가 있으며, 인적쇄신 범위도 중폭이상 대규모가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특히 국무총리와 대통령실장 교체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한승수 총리의 측근들은 집권1기 내각을 이끈 한 총리가 ‘마음을 비운 것 같다’는 말까지 흘러나올 정도인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여야의 대치가 심상치 않은 것 때문에 국회 인사청문회 부담이 관건인 상황인데 외교통상부, 법무부, 국방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문화관광부, 노동부, 환경부, 여성부 장관 등 7-8명이 교체될 것으로 보여 집권2기 국정운영을 맡을 후임내각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와 함께 청와대 개편의 상징적인 의미 때문에 교체설이 나도는 대통령실장의 경우 정정길 실장이 퇴진하고 수석비서관 중 2-3명만 제외하고 모두 경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청와대-정치권 일각에선 이번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선 수석은 2-3명만 빼고 80-90%에 달하는 대폭 교체가 단행될 것이란 설이 나돌 정도로 획기적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