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07-19 23:23:08
기사수정
▲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미디어법 처리를 놓고 여야 대치정국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미디어법에 대한 반대입장을 밝히면서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박 전 대표는 19일 “만약 본회의에 참석하게 된다면 반대표를 행사하기 위한 것”이라며 오는 20일 직권상정과 표결처리를 결정한 한나라당 지도부를 혼란에 빠뜨렸다.

특히 박 전 대표가 미디어법 처리에 반대하자 70여명에 이르는 친박계 의원 대부분이 기존입장을 전환, 박 전 대표의 뜻에 따라 반대할 것으로 예상돼 처리가 불발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안상수 원내대표가 “박 전 대표가 출석치 않았지만 표결에 참여한다는 전언을 받았다”고 밝힌데 대해 홍사덕 의원 등 친박계가 “참석여부에 대해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해명하면서 나왔는데 여의도 정가에선 이를 계기로 친이-친박계의 결별까지 예상하고 있다.

더욱이 친박계 의원들은 “박근혜 전 대표가 직권상정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시점에서 노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일 당장 직권상정을 한다는 것에 반대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국민이 우려하는 여론 독과점을 해소하는 안을 마련해 국민에게 알리고 야당과도 협상하는 노력이 필요한데 그 점에서 충분치 않다”며 “협상-설득노력이 충분했는데도 야당이 계속 반대한다면 그때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했지만 사실상 당론까지 뒤집었다.

다만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직권상정 자체를 반대한 것은 아니고 지금 시점에 상정을 반대한다”며 “박 전 대표가 미디어법 개정을 반대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럼에도 불구, 6월 국회의장 직권상정이 임박한 가운데 친박계 수장인 박근혜 전 대표의 미디어법 반대입장 표명은 ‘친이-친박 결별’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정가 관계자는 “박 전 대표의 미디어법 반대입장 표명은 즉흥적으로 나온 것이 아니다. 당장 국회의장이 직권 상정해도 법 처리가 불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결국 박 전 대표가 대통령과 다른 길을 걷기로 한 것 같다. 차기 대권행보를 위해 조만간 당내외 친박세력을 결집시켜 독자 세력화를 도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박 전 대표가 미디어법 처리를 공언하고 나선 여당 지도부에 일격을 가했다”며 “박 전 대표가 민주당을 비롯한 좌익계 야당들과 공모하면 이 대통령의 집권2기 국정운영은 야당과 정쟁으로 이어져 안정적인 정책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박 전 대표의 미디어법 반대를 계기로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사실상 정치적으로 결별한 것”이라고 전제, “여당의 어정쩡한 계파 줄타기가 끝난 느낌이다. 친이계는 수도권 위주로 재편되고 친박은 대구경북 지역정당으로 고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키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38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