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미사일에… 결국 사이버전쟁 도발
- 국정원, 인민군 정찰국 ‘110호 연구소’ 지목… 6월초 사이버공격 지시한 …
최근 청와대와 백악관을 비롯한 한국과 미국의 주요기관 인터넷 사이트가 사이버 테러를 당한 것과 관련, 국가정보원이 이번 사건의 배후를 북한으로 지목했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정원은 지난 10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를 통해 최근 3차에 걸친 한미 주요기관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등 사이버 테러는 북한 인민군 정찰국소속 ‘110호 연구소’ 주도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의견을 냈다.
이와 관련, 한 정치권 관계 소식통은 “국정원이 이번 사이버 테러의 배후로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산하 110호 연구소를 지목했다”며 “이 조직은 오래 전부터 사이버전(戰)과 관련, 훈련이 잘 된 부대로 해외에서 해커부대를 운용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국정원은 최근 대북첩보를 근거로 북한이 중국-동유럽 등지에서 해커부대를 운영해오고 있으며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 도발행위에 이어, 지난 6월초 한국과 미국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지시가 내려진 것 같다는 내용을 보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국정원은 이번 사이버 테러를 북한 해커부대의 소행으로 입증할 근거로 특정 해킹수법 등 기술적 분석내용을 제시했는데, 공격대상 목록을 담은 파일을 특정 악성코드에서 생성하는 것은 북한 해커부대가 주로 사용해왔던 해킹수법이란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앞서 북한이 인터넷을 활용해 대남-대미첩보를 수집하고 전산망 교란을 위해 사이버전 전담부대 ‘기술정찰조’를 운용하고 있다는 정보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한 바 있다.
한편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110호 연구소는 북한군의 컴퓨터 전문요원을 양성하는 평양 지휘자동화대학 졸업생 위주로 선발된 것으로 100여명이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이 조직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요 보직자들에 대해 해킹 프로그램이 포함된 이메일을 발송하는 식으로 정보를 빼내려는 시도를 계속 감행해온 만큼 경각심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