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07-10 03:16:06
기사수정
▲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오는 15일 열릴 예정인 국회 본회의에서 미디어법과 비정규직법 등 쟁점법안도 처리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앞서, 여야는 쟁점법안을 제외한 레바논 파병연장 동의안 등 일부 사항만 처리하기로 합의 했었다.

하지만, 박희태 대표는 9일 KBS <라디오 정보센터>와의 인터뷰에서 "원포인트 개원이라고 하는데, 우리 국회법에 그런 게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굳이 한 사항만 처리하고 또 문을 닫겠다는 비정상적이고 국민들이 봐도 참말 이해 못할 짓만 하고 있다."고 부정적 입장을 비쳤다.

박 대표는 그러면서 "미디어법은 이미 6월에 꼭 처리하겠다고 양당 대표끼리 합의서를 썼으니 약속대로 해야 되고, 비정규직법은 지금 벌써 7월이 시작되어서 눈물을 흘리고 고통을 겪는 실업자가 하루하루 생기고 있으므로 더 이상 논의하고 처리 시기를 협상할 성질이 못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진행자가 "15일 본회의에서 레바논 파병연장 동의안 처리 외에 다른 것들도 함께 처리가 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냐?"고 묻자 "네."라고도 답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이번 발언에 대해 "통상적으로 여러 법안을 처리하는 본회의의 성격을 원론적 차원에서 언급한 것"이라면서 "15일 본회의에서 쟁점법안을 처리하겠다는 말을 한 것이 아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표는 이날 인터뷰에서 "직권상정이라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다."며 "합의가 안될 때는 합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국회법에 규정되어 있다."고도 언급했다.

박 대표는 이어 "우리도 최후의 결단을 내려야 안 되겠나, 이런 분위기가 당내에 지배적으로 퍼져 있다."며 "아무것도 못하는 국회가 아니라 뭔가 하는 국회의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야 하는 것이 막중한 여당의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진행자가 "뭔가 하는 국회의 모습을 보여야 하므로 13일까지 상임위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직권상정을 요청하는 수순으로 가게 되는 것이냐?"고 묻자 "네네."라고 분명히 답했다.

박 대표는 이와 관련, "미디어법에 관해서는 이미 지난 2월 국회에서 여야 간에 합의를 했고 또 그것을 국회의장께서도 인정을 했다."며 "때문에 그대로 해주시리라고 믿는다."고 기대감을 비쳤다.

그는 이어 "이제 결국은 하나 남은 비정규직법인데, 비정규직법은 누차 이야기 드린 것처럼 하루하루 눈물 흘리는 근로자들이 불어나고 있으니까, 이것도 빨리 처리하는 방법이 막힌다면 직권상정해서 처리하는 길밖에 없지 않느냐 이렇게 생각한다."며 "이런 사정들을 (국회의장에게) 한번 말씀을 잘 드려보겠다."고 덧붙였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36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