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안상수 '힘없는 비정규직을 우리편으로'
- "대기업 정규직 임금,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2배"

▲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
한나라당이 비정규직법 개정을 위해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아픔'을 부각시키는 모습이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3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와 중소기업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이 2배 정도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어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들의 임금을 높이기 위해 (하청 업체인) 중소기업은 납품단가를 낮춰야 하고, 이를 위해 비정규직 근로자나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우리 나라에는 1만580명의 노조전임자가 일을 하지 않고 연봉을 받는데 근로자 149명당 1명 꼴이다."며 "일본의 500~600명당 1명, 미국의 800~1000명당 1명, 유럽의 1500명당 1명과 크게 차이가 난다."고 강조했다.
안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통을 해소할 수 있는 궁극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민주당이 비정규직법 시행을 6개월 유예하자는 안을 제시했지만, 이 기간은 근본적 처방을 모색하기엔 너무 짧다."고도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 2일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 친박연대는 유예기간을 1년 6개월로 하는 데 합의를 봤다.
안 원내대표는 더불어 "민주당이 자신들의 일부 지지세력을 지키기 위해 비정규직 근로자를 외면해서는 안되고, 또, 개인의 입신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생존권과 같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는 그러면서 "더 이상 '민주당 실업' '추미애 실업'이 생기지 않도록 민주당과 추미애 환노위 위원장은 국민들께 사과하고, 친박연대.선진.한나라당의 합의 안을 상정, 통과 시켜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날 장광근 사무총장은 "지금 이 시간에도 해고통보를 받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집단적 시위마저 조직할 수 없는 힘없는 민초들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 사무총장은 이어 "거리정치나 광장정치가 습관이 된 민주당의 눈에는 집단적 폭력시위만이 대안으로 비춰지는지 모르겠지만 소리없는 실직사태는 쇠파이프나 죽봉으로 무장한 폭력시위보다 더 무서운 소리없는 대란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경고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