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核 실험 등,北 군사력 위협에 강경 대응 경고
- 클린턴 “상응하는 결과가 따를 것”… 백악관 ”국제사회 고립만 심화시…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의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잇따른 군사적 도발시도에 대해 강경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각 27일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해 북한이 스스로 고립을 심화시키고, 상응한 대가를 치를 것이란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우선 클린턴 국무장관은 이날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 이집트 외무장관과 회담직후 “북한은 UN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는 동시에 6자회담에서 자신이 한 약속까지 파기하는 선택을 했다”며 “이런 행동엔 상응하는 결과가 따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북한의 핵위협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은 한국 및 일본과 방위공약을 확고하게 이행하겠다고 밝히는 등 확고한 핵우산전략에 어떤 변화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클린턴 장관은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라면서 북한이 UN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6자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로버스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이 국제사회를 위협해 주목받으려 하지만 결코 위협을 통해선 자신들이 갈망하는 관심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해 관심을 집중시켰다.
기브스 대변인은 또 “자신들의 고립만 심화시킬 뿐”이며 “정전협정 무효를 시도한 것이 지난 15년간 다섯 번째”라고 북한군의 정전협정 무효주장에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이안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영변 핵재처리시설 재가동에 착수했다는 보도에 대해 “북한이 원자로를 재가동한다면 명백한 도발행위”라고 강조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켈리 대변인은 또 “이미 우리가 여러 차례 강조한 대로 북한은 도발적 성명발표를 중단해야 한다”라고 전제한 뒤 “자신들의 약속과 국제적 의무사항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현재 출장 중인 오바마 대통령이 워싱턴에 돌아오는 대로 만나 긴급한 북한 핵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