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가는 北, 서해상 단거리미사일 발사징후
- 전군 주요지휘관회의 열어 대응책 마련논의
지난 25일 2차 핵실험과 동해상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이 서해에서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징후가 포착돼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소식통은 26일 “북한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평남 증산군 서해상에 선박 항해금지구역을 선포했다”며 “조만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현재 북한이 발사를 준비 중인 미사일은 사정거리 83km에서 95km인 실크웜 미사일을 최대사거리 160여km로 개량한 KN-O1 지대함 미사일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 미사일은 길이 5.8m, 직경 76cm, 무게 2.3t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북한은 지난 25일 함북 길주군 풍계리에서 핵실험을 감행한 뒤 12시8분 함북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단거리 미사일 1발, 오후 5시3분 강원 원산에서 미사일 2발을 각각 발사했다.
따라서 우리 군당국은 북한의 2차 핵실험에 이은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무력시위 수준을 최대한 제고하려는 의도로 분석하고 있으며 군사 대응을 포함한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군은 이날 오전 10시30분 김태영 합참의장 주재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열고 한반도 안보상황을 점검하는 동시에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군사 대비계획을 논의하는 중이다.
합참 관계자는 “지휘관 회의에선 북방한계선(NLL)과 군사분계선(MDL)지역 등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이 예상되는 만큼 대북 감시-경계태세를 강화하도록 강조할 것”이라고 전제한 뒤 “북한의 유형별 도발 시나리오에 대한 대책을 재점검하라고 당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따라서 현재 우리 군은 대북 감시-조기경보체제를 총동원, U-2 고공전략정찰기와 첩보위성 등 연합감시자산을 집중적으로 운용해 북한군의 도발징후를 정밀 추적하고 상황근무 태세 유지와 지휘관 정위치 대기태세를 유지해 서북해역 등 접적지역 도발 대비태세를 강화했다.
한편 이날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엔 군단장급 이상 지휘관과 국방부 주요 간부, 직할기관장을 비롯해 140여명이 참석, 북한의 연쇄적 도발에 대한 군사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