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차 지하 핵실험 강행 '위력과시'
- 李대통령, 안전보장회의 긴급 소집…
국제사회의 강력한 우려에도 불구, 북한이 25일 오전 9시 45분경 2차 핵실험을 강행해 사실상 대남 선전포고를 하고 나섰다.
특히 정부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06년 1차 핵실험보다 훨씬 강도가 높은 핵실험을 감행한 것으로 파악돼 우리나라와 국제사회가 취할 대응수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지하 핵실험을)성과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고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안보관계 장관회의를 주재한데 이어 긴급 안전보장회의까지 소집했다.
우선 조선중앙통신은 “공화국의 자위적 핵억제력을 백방으로 강화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주체98(2009)년 5월25일 또 한 차례의 지하 핵시험을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며“이번 핵시험은 폭발력과 조종기술에 있어서 새로운 높은 단계에서 안전하게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지난달 29일 UN안보리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의장성명 등의 조치를 취하자 핵실험-미사일 발사시험을 예고한지 1개월여만에 나온 도발이다.
이에 대해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앞서 “오늘(25일) 오전 9시54분 함북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진도 4.5안팎의 인공지진이 감지됐다”며 “여러 정황으로 미뤄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한미 정보당국이 분석하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혀 관심을 집중시켰다.
한편 지난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당시 진도 3.5의 인공지진이 감지됐었는데 이번엔 진도가 4.5로 상당히 강력한 폭발력을 실증한 만큼, 앞으로 정부차원의 대응수위가 주목된다.
더욱이 북한이 6자회담이 교착됐던 지난 2006년 10월 풍계리 지역에서 최초 핵실험을 감행한데 대해 UN안보리가 대북결의 1718호로 제재조치를 취했지만, 미사일 시험발사와 핵실험으로 이어진 북한의 연쇄적 도발행위를 예방하는데 효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
[덧붙이는 글]
위사진 출처 : 프런티어타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