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기업 고강도 구조조정 추진준비 '박차'
- 금주내로 10여개 그룹 MOU 체결대상 선정키로

은행권이 조만간 부실경영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돼 재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10일 금융권과 재계에 따르면 우선 채권은행과 약정을 체결하고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하는 주채무계열 선정작업이 막판 진통 끝에 이번 주 마무리될 전망인데,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당초 계획보다 1주일 늦춰 10여개 그룹을 최종 선정해 양해각서(MOU)를 맺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채권은행들은 일부 그룹들에 대해선 추가로 계열사 매각을 주문하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대기업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채권단은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평가를 통해 불합격 결과가 나온 14개 그룹과 합격점을 받긴 했지만 재무개선이 필요한 그룹에 대해 재무개선 약정체결을 조율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 진동수 위원장이 "부채비율 중심의 단순평가보다 현금흐름과 자산-부채 등 재무상태를 따져보고 재무개선 약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주문, 일정이 연기됐지만 재무구조 개선약정 체결대상은 예상대로 10여개정도 될 것으로 보여 그룹간 명암이 엇갈릴 전망이다.
따라서 주채권은행들은 약정대상 그룹과 이르면 오는 20일 전후 또는 이달말까지 구체적인 구조조정 방법과 일정을 적은 MOU를 체결, 고강도 구조조정을 본격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채권단은 MOU 체결을 거부하면 1차 경고하고, 신규여신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며 약정 체결이후 6월말 기준으로 70일이내 45개 그룹에 대한 재평가가 실시된다.
채권단은 또 이번 주 신용공여액 500억원이상 400여개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를 시작하는데 C등급을 받으면 워크아웃을 밟아야 돼 그룹 재무개선 약정에 큰 영향이 예상된다.
더욱이 재무구조가 악화된 일부 그룹의 경우 약정체결 대상에서 빠지려 채권단과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계열사와 자산매각과 함께 증자를 추진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관련, 채권단 관계자는 "약정을 맺는 그룹 중 일부는 돈이 되는 계열사-자산을 추가로 내놔야 한다"면서 "오너와 채권단간 줄다리기를 통해 약정내용이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