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민심, 여야 원내대표 경선변수 부상
- 한-민 양당, 정수성-정동영-신건 등 무소속 당선자 입당-복당문제로 고심

5월중 실시되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차기 원내대표 경선과정에 4.29 재보선 민심을 어떻게 수용할지가 막판변수로 부상했다.
아울러 이번 선거에서 경주 정수성, 전주 덕진 정동영, 완산갑 신건 등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돼 여야는 이들 당선자의 입당 내지 복당문제로 한동안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우선 한나라당은 지도부 책임론과 쇄신론이 제기되면서 친박계 원내사령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급부상하고 있는데, 앞서 차기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정의화, 안상수, 황우여 의원에 밀려 한동안 주춤한 친박좌장 김무성 의원 카드가 제기됐다.
특히 경주선거에서 무소속 정수성 당선자가 박근혜 전 대표의 영향력이 건재함을 입증했으며 친이계도 친박인사 중용을 통한 당내화합이 절실하다는 점을 실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일부 친이계 강경파는 박희태 대표의 지도력이 이미 상처를 입은 가운데 친박계에 원내대표를 내준다면 당내에서 자신들의 입지가 줄어들 수 있다면서 반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및 신건 전 국정원장의 무소속 연대가 전주 두 곳의 선거에서 이겨 당선됨에 따라 마찬가지로 위기국면에 처한 민주당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민주당의 경우 6개 계파가 난립하던 시기를 지나 수도권 386출신을 위주로 한 주류세력과 호남출신 중진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등에 업은 정동영계의 한판 대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장 차기 원내대표 경선이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에선 이미경, 박병석 의원이 거론되고 있으며 정 전 장관이 지지하는 이종걸 의원이 급부상하고 있다.
더욱이 앞서 민주당 원내대표를 노리던 이강래 의원은 정동영계로 낙인이 찍혀있고 김부겸 의원의 경우 386그룹과 함께 정동영 공천을 반대해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이번 4.29 재보선에서 나타난 지역민심을 감안할 때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도부는 모두 무소속 당선자들의 입당이나 복당문제에 대해 상당한 정치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소속 돌풍이 일어난 경주, 전주 덕진-완산갑 등 3곳이 한-민 양당이 자신의 텃밭이라고 공언하던 선거구였고 공천당시 계파간 갈등이 불거졌던 만큼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실제로 민주당은 선거직후 비주류측이 당력을 집중할 필요성을 들어 정동영-신건 당선자에 대한 복당을 지도부에 요구하며 압박에 나섰는데 정 당선자는 "돌아가는 것이 순리이고 상식이다. 표심에 담긴 의미는 복당해서 당을 발전시키는데 힘을 보태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 역시 정수성 당선자의 입당문제가 고민거리인데 경주선거가 친이-친박계간 대리전 양상이었기 때문에 주류인 친이계의 입장에선 섣불리 용인하기 곤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정 당선자는 경주에서 최종 당선소식을 접한 직후 한나라당 입당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와 상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앞서 한나라당 지도부와 친이계와 앙금이 많이 쌓였고 박 전 대표도 부담이 있어 입당이 실현될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