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4.29 재보선은 공천이 문제
- "낙하산 공천" 당 내부에서 자성 목소리 증폭

한나라당이 공천을 제대로 못하는 것은 고질병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원만한 공천을 이끌어 내지 못해, 결국에는 당 분열과 지지도 하락이라는 합병증에 시달렸다.
이랬던 한나라당이 이번 4.29재보선에서도 공천을 잘못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당 내에서 흘러 나오고 있다.
사실 이번 4.29재보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은 상당히 유리한 상황이었다.
우선 야당인 민주당의 내분이 극에 달했다. 민주당 대선후보를 지낸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이 당을 탈당하고 전주 덕진 지역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것이다.
여기에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뇌물수수 의혹에 휩싸였다. 이는 민주당 등 지난 집권세력의 도덕성에 회복불능의 상처를 냈다.
이런 가운데 세계적 경제위기와 맞물려, '여당에게 힘을 실어줘 경제를 살리자'는 구호도 어느 정도 먹혀 들어갔다.
이 뿐만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상승곡선을 그렸다. 경제지표도 청신호를 보내왔다.
이렇게 좋은 환경이 조성됐음에도 한나라당은 이번 재보선에서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했다.
이에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은 1일 한 TV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해 공천 전략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했다.
나 의원은 "낙한산 공천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울산북구에서 공천에 탈락한 사람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표가 분산됐다."고도 말했다.
앞서, 김영선 의원은 지난달 30일 "각 선거구마다 실제로 초반부에 여론지지를 많이 받은 후보가 있었음에도 거대 당론인 경제살리기에만 입각해서 공천을 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거대당론도 좋지만 그 거대당론이 민심과 연결되는 후보를 통해서 국민에게 혜택을 주는 측면으로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한나라당이 잘못된 공천으로 스스로 무덤을 점점 깊이 파고 있는 셈이다.
한나라당이 뼈저리게 느껴야 할 대목으로, 이를 어떻게 치유할 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