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재보선 참패계기 '김무성 원내대표론' 솔솔∼
- 친이-친박갈등 해소 당직개편-당무쇄신 주목

▲ 박근혜전대표와 김무성의원
4.29 재보선 참패를 계기로 한나라당 일각에서 친박계 원내대표를 기용할 필요성이 제기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나라당 지도부는 선거패배에 따른 계파갈등을 비롯한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무쇄신과 당직개편에 나선다는 방침인데, 곧 임기가 끝나는 홍준표 원내대표의 후임으로 친박좌장 김무성 전 최고위원을 원내대표로 추대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의 공천을 받고 여론조사에서 앞섰던 정종복 전 의원이 경주에서 무소속 정수성 후보에게 여지없이 패한 근본적 원인은 당내 계파간 갈등구조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선거에서 낙마한 정 전 의원의 경우 친박진영의 입장에서 본다면 소위 보복공천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으며, 박근혜 전 대표의 막강한 영향력을 감안할 때 당내 친이계가 당선 가능성보다 계파적 관점에서 무리하게 정 전 의원을 공천해 패배를 자초한 셈이다.
더욱이 당직을 장악하고 있는 친이계 역시 친박계와 화해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제 살리기를 위한 향후 정국운영이란 명분은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것을 절감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한나라당에선 당직을 개편하면서 친박계 지분을 보장해주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김 전 최고위원의 원내대표 기용 가능성이 부쩍 힘을 얻고 있다.
더불어 안경률 사무총장의 사의표명으로 예상되는 후속 당직개편 및 당무쇄신 추진과정에서 친박계에 대한 배려가 이뤄질 전망이며 일부 친이계 의원은 "계파갈등을 해소하고 당을 안정시키려면 친박계의 좌장인 김무성 의원을 원내대표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키도 했다.
따라서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번 선거로 드러난 민심을 분석해 당내 친이-친박 계파갈등을 치유하기 위해 친박계 당직자를 대거 등용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이에 대해 한 정치권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과 여전히 소원한 관계인 박근혜 전 대표를 포용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면서 "박 전 대표와 화해를 위해선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방안이 효과적이지만 우선 당직개편과 당무쇄신 과정에서 배려가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김무성 의원이 차기 원내대표를 맡아 친이-친박간 화합과 공조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면서 "당내 계파갈등이란 불씨를 여전히 남겨놓을 경우엔 거대 집권여당의 위신에 걸맞지 않게 앞으로 이어질 선거에서 계속 참패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