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의 무법자, 무면허로 도로 주행하다 적발된 교통법규위반자 5년 사이 약 2배 증가
-2024년 무면허 운-전 적발 건수 79,326건으로 최대치 기록! 20대 미만 28,864건으로 전체의 36% 차지
-음주운전 면허취소자의 무면허 운전 또한 5년간 6배 증가, 70대 고령자의 경우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 의원“급격한 무면허 운전의 증가는 안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무너뜨려 보다 강력한 조치 필요”
2024년 무면허 도로주행으로 적발된 교통법규 위반자가 79,326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하루에 약 217명이 면허 없이 도로주행을 한 셈이다.
고동진 국회의원(국민의힘, 서울 강남구병)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무면허 운전으로 경찰에 적발된 운전자가 2020년 42,534명이던 것이 2024년 79,326명으로 약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무면허 운전으로 적발된 운전자는 ▲20대 미만 28,864명, ▲20대(만20세~29세) 19,719명, ▲30대(만30세~39세) 9,004명, ▲50대(만50세~59세) 7,589명, ▲40대(만40세~49세) 7,379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대 미만의 연령대가 전체의 36%를 차지하고 5년 전 대비 195%가 증가해 미성년자의 무면허 운전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 무면허 운전 적발 현황
(단위: 명)
연도 | 합계 | 20대 미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이상 |
2020 | 42,534 | 9,765 | 7,064 | 6,113 | 5,736 | 7,314 | 4,434 | 2,108 |
2021 | 44,481 | 11,402 | 9,174 | 5,627 | 5,345 | 6,413 | 4,460 | 2,060 |
2022 | 58,719 | 21,747 | 12,989 | 6,238 | 5,235 | 6,024 | 4,374 | 2,112 |
2023 | 72,186 | 29,319 | 16,222 | 7,479 | 5,636 | 6,215 | 4,798 | 2,517 |
2024 | 79,326 | 28,864 | 16,719 | 9,004 | 7,379 | 7,589 | 6,455 | 3,316 |
※ 면허를 필요로 하는 PM등 모든 차의 종류 포함.
뿐만 아니라, 무면허 운전적발자 중 음주운전으로 ‘면허취소’ 처분받은 후, 무면허 운전을 하다 적발된(이하 음주운전 면허취소자의 무면허 운전) 건수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연령별 음주운전 면허취소자 무면허 운전 적발 현황’자료에 따르면, ▲ 2020년 3,401건이었던 음주운전 면허취소자의 무면허 운전 적발 건수가 ▲ 2024년에는 19,181건으로 약 6배나 증가했다.
연령별 음주운전 면허취소자 무면허 운전 적발
(단위: 명)
연도 | 합계 | 20대 미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이상 |
2020 | 3,401 | 57 | 719 | 822 | 780 | 679 | 306 | 38 |
2021 | 7,711 | 91 | 1,610 | 1,735 | 1,703 | 1,716 | 722 | 134 |
2022 | 11,056 | 131 | 2,356 | 2,525 | 2,462 | 2,301 | 1,088 | 193 |
2023 | 14,504 | 179 | 2,971 | 3,502 | 3,140 | 2,951 | 1,498 | 263 |
2024 | 19,181 | 169 | 3,422 | 4,432 | 4,540 | 3,969 | 2,268 | 381 |
※ 면허를 필요로 하는 PM등 모든 차의 종류 포함.
무면허 운전은 비단 자신의 안전뿐만 아니라, 사고 시 타인의 생명ㆍ신체ㆍ재산 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파괴력이 큰 범죄다. 그에 비해 무면허 운전의 처벌은 1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비교적 낮게 규정되어있어, 처벌 수위가 낮다는 지적이 계속되어왔다.
더욱이 단순한 교통법규 위반이 아닌, 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 음주운전 혈중알코올농도 0.03% 2회 이상, 음주측정 거부 등 중대한 범죄에 대한 행정처분을 받은 음주운전 면허취소자가 다시 운전대를 잡는 불법행위가 매년 최대치를 갱신하는 것은 교통안전질서에 대한 불신을 유발하고, 사회 전반의 안전 체감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결코 개인의 일탈로 간주해선 안 될 사안이다.
고 의원은 “교통안전은 국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영역으로 급격한 무면허 운전의 증가는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 안전 체감도를 하락시키는 것은 물론 교통ㆍ치안 전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면서 “무면허 운전, 특히 음주운전 면허취소자의 무면허 운전에 대해 보다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