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12-06 21:05:02
  • 수정 2016-12-06 22:03:08
기사수정


<정은상 맥아더스쿨 교장>

바야흐로 디지로그 즉,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융합 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디지로그는 다른 용어로 O2O라고도 한다. 군사용으로 시작된 디지털화가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불과 40년이 채 되지 않은 1980년대 초이다. 그 이후 1990년대 인터넷 시대를 거쳐 지금의 스마트 시대까지 디지털 문명은 우리 일상을 여지없이 파고 들었다.

소위 제4차 산업혁명의 거친 바람이 불어 닥치고 있는 것이다. 그 핵심은 그동안 진행되었던 디지털화가 이제 어떻게 기존의 아날로그와 만나 자연스럽게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 인간의 삶에 기여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진다.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사람에게는 아날로그보다는 디지털이 더 친숙하고, 심지어 2000년 이후 출생자는 멀티미디어를 동반한 스마트한 디지털이 더욱 자연스럽겠지만 결국 이 모든 디지털 문명이 아날로그를 외면하고 융합하지 못하면 모래 위 누각처럼 일순간에 사라지고 만다. 이것이 우리가 경계해야 할 디지로그 시대의 불편한 진실이다.

니콜라스 카는 그의 저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통해 디지털화가 인간의 뇌 구조를 바꾸어 놓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생각하지 않아도 검색만 하면 결과를 손쉽게 내 손 안에 들려 주는 지금을 일컫는 다소 무시무시한 말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의 행복은 디지털보다는 아날로그에 가까이 있다.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행복을 느낀다는 통계를 굳이 들먹이지 않아도 사람 냄새를 맡으려면 디지털보다는 아날로그로 가야 한다. 책읽기와 글쓰기도 아날로그에 가깝고 먹고 마시고 사람들과 어울리고 자유롭게 여행하는 것도 아날로그다.

결국 디지털 문명의 빠르고 손쉬움을 아날로그에 접목할 때 진정한 행복의 길로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1980년 초에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아날로그로부터 출발해 디지털 시대와 스마트폰 사용까지 짧은 기간에 이 모든 변화를 직접 겪었다.

그리고 스마트폰이 나온 이후 지난 7년간 디지털 문명을 송두리째 받아들이고 전파하는 첨병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이제 다시 디지로그 시대가 되고 보니 우리가 디지털이든 아날로그든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면 진정한 융합의 시대를 슬기롭게 헤쳐가기 힘들겠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 것이다.

디지털을 잘 알지 못한다고 탄식할 필요도 없고 아날로그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걱정할 필요도 없다. 자연스럽게 우리가 살아가면서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지혜를 가진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새롭게 활짝 펼쳐지는 디지로그 시대를 온 몸으로 맞아 들이며 즐겨보자. 우리 자신의 행복을 위해.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99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