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10-23 22:43:43
기사수정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5자 회동에서 여야 지도부에 노동개혁을 포함한 민생법안 처리를 요구했다. 하지만 야당은 사안마다 맞서며 결국 성과없이 끝났다.

현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은 6번째로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임기 중 3차례, 노무현 전 대통령이 2차례 회동을 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그만큼 청와대가 야당과 소통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노동개혁이나 경제활성화법 등에 있어 야당의 협조를 얻고자 했고, 야당은 '대통령에게 할 말을 다 했다'며 모양새를 갖추기 급급했다.

여야는 이날 합의하지 못한 민생법안 처리를 위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회동을 이어가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는 "야당이 할 말 다하라고 시간을 충분히 줬다. 이런 대화라도 해야지"라며 의미를 부여했고, 문재인 대표는 "국회 일정 전면중단이나 예산심사 거부 같은 생각은 전혀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박 대통령이 하루에 40억 원의 기대 수출액이 사라진다는 구체적인 통계까지 제시하며 늦어도 11월까지 한중 FTA를 비준 동의해 줄 것도 당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확답을 피하고 경제 활성화 법안을 처리해달라는 말에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경제민주화 법안이 먼저라고 맞섰다.

또, 문재인 대표는 김무성 대표와 공천룰을 합의했는데, 대통령이 압력을 행사해 무산시켰다고 반발했고, 여당은 합의를 본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문 대표는 "경제가 어려운데 대통령께서 왜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매달리는지 이해할 수 없다. 국민은 국정 교과서를 친일·독재 미화 교과서라고 생각한다. 국정화를 중단해 달라"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무성 대표는 목소리를 높이며" 내가 지금까지 참았는데 그만해라.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며 자제를 요구했다.

이날 박 대통령은 회동 말미에 “19대 국회가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국회가 돼야 한다”면서 “청년 일자리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경제 활성화 법을 꼭 통과시켜서 헌정사에 남는 유종의 미를 거두어 달라”고 당부했다.
<프런티어타임스(www.frontiertimes.co.kr)>
<박찬성(press@frontiertimes.co.kr)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76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