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9-02-06 14:35:40
기사수정

민주노총 지도부 4명이 6일 오전 `성폭력 파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격 사퇴했으나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지도부 총사퇴를 논의했지만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총사퇴를 주장했던 허영구, 김은주, 박정곤, 주봉희 부위원장 등 4명만 이날 새벽 사퇴를 발표했다.

그러나 피해자 대리인 측은 민노총 지도부의 총사퇴와 납득할만한 수습 방안을 기대하고 있어 2차 가해에 대한 법리검토를 마치는 대로 이들에 대한 수사를 의뢰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 여성의 대리인인 김종웅 변호사는 전날 "사건이후 민노총 고위간부들이 피해자에게 '사건이 알려지면 조직이 심각한 상처를 받는다'며 압박을 가하는 등 2차 가해를 했다"며 "이번 사건의 발생과 처리과정을 보면서 민노총 지도부가 최소한의 양식도 없고 민주노조운동을 진행할 도덕적 근거마저 완전히 상실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민노총 지도부를 강도높게 비판한 바 있다.

현재까지 사퇴를 거부하고 있는 민노총의 지도부 4명도 이날 오전 재개되는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사퇴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나, 지도부가 총사퇴 하더라도 민노총이 이번 사태로 받을 도덕적 타격은 상당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특히 민노총은 지난 2005년 강승규 전 수석부위원장의 뇌물수수 비리로 이수호 지도부가 총사퇴한 지 3년여 만에 또다시 도덕성에 치명타를 맞으면서 입지가 크게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번 파문은 민노총의 한 핵심 간부가 이석행 위원장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던 동료 여성 조합원을 성폭행하려 한 사건으로, 민노총 지도부 해당사실을 확인하고도 피해자를 압박하며 조직적으로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프러티어타임스 김석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7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