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5-11 05:33:13
기사수정
▲ 홍준표 경남지사
[이보연 기자]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검찰에 가장 먼저 소환된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17시간 동안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게 불법 정치자금 1억 원을 받은 혐의로 8일 검찰에 소환된 홍 지사는 취재진을 향해 "최선을 다해서 했습니다. 부족한 부분을 차후에 다시 소명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윤승모 전 경남기업 부사장과 의원회관에서 만난 적이 없느냐는 질문엔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번 수사는 지난 2011년 6월 국회의원회관에서 성 전 회장이 보낸 윤승모 전 부사장으로부터 돈뭉치가 든 쇼핑백을 받았는지가 핵심이다. 이에 대해 검찰은 돈이 오간 날짜까지 특정해 제시하며 알리바이를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 지사 역시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상당한 자료를 제시하며 맞서는 등 공방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정권 실세들이 거론된 ‘성완종 리스트’에서 보수언론은 진보언론 뺨치게 검찰의 철저한 조사를 다그치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그동안 좋은 점수를 주기 힘든 박근혜 정권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우회적 표현이 아닐까 하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나온다.

-성완종 리스트 검찰의 무능, 철저 수사 강조한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성완종 리스트' 수사에서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검찰의 무능을 비판했다. 홍 지사 관련 수사에서도 성 전 회장 수사에서 보인 무능을 보일 경우 검찰 신뢰도가 땅에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조선일보는 9일 <'자원 비리' 헛발질 檢, '성완종 수사'로 無能 또 드러낼 건가> 제하의 사설을 통해 8일 고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1억원을 받은 의혹으로 검찰에 소환된 홍준표 경남지사의 소식을 전하면서 "어느 수준까지 치밀하게 정황 증거나 직접 증거를 찾아내느냐에 검찰의 수사 능력에 대한 평가가 판가름 날 것"이라 말했다.

이어 "현금으로 전달되는 정치자금이나 뇌물의 경우 받은 쪽이 부인해버리면 재판에서 인정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지적한 조선일보는 "'성완종 수사'에서 검찰이 실마리와 단서를 찾아내기가 얼마나 어려울지 짐작은 간다"면서도 "그러나 이번 수사는 성완종씨의 자원 비리 의혹을 겨냥했던 검찰이 헛발질을 하는 바람에 초래된 측면이 있다"고 꼬집었다. 충분한 단서 없이 성 전 회장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가 자원 비리 혐의가 입증되지 않자 국고 지원을 받기 위해 기업 재무 상태를 속였다는 사기 혐의로 수사 방향을 튼 검찰의 치밀하지 못한 수사를 지적한 것이다.

그러면서 조선일보는 "이 상황에서 검찰이 성완종 메모 수사에서도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검찰은 권력 하명(下命)을 받들어 모실 줄은 알아도 혐의자들을 옭아맬 증거를 찾아낼 줄은 모르는 무능(無能) 조직이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검찰을 향해 성역 없는 철저한 수사를 당부했다.

-권력 실세들에 제기된 의혹 검찰의 철저 수사를 강조한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같은 날 <'성완종 리스트' 홍준표 첫 소환, 성역 없는 수사 계속하라> 제하의 사설에서 "홍 지사는 검사 시절 이탈리아의 성역 없는 부패추방운동 '마니 풀리테'를 극찬한 바 있다"며 "거악(巨惡) 척결에 앞장서 '모래시계' 검사로 국민적 관심을 받았던 인물이 부정한 돈을 받은 혐의를 받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

이어 "홍 지사 다음으로는 이완구 전 총리가 다음 주 소환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고 전한 동아일보는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나머지 6명에 대한 수사는 답답할 정도로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성 회장이 망자(亡者)라는 어려움만 내세워 수사가 용두사미(龍頭蛇尾)에 그칠 경우 국민의 검찰 불신, 정치 불신이 더 커질 것이 뻔하다"고 지적했다. 대선자금 의혹을 받고 있는 6인에 대해 검찰이 압수수색, 참고인 조사 등 그 어떠한 수사도 하고 있지 않은 점을 꼬집은 것이다.

그러면서 8일 "최근 발생한 사건들에 대해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서 국민 의혹을 해소하고 우리 사회와 정치권이 윤리적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계기로 만들어 나갈 각오"라고 밝힌 박 대통령의 의지를 강조한 동아일보는 "검찰은 이를 성역 없는 수사에 대한 '허가장'으로 받아들여 친박 인사들의 2012년 대선자금 수수 의혹, 2013년 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 당시 여권 실세와 금융당국자들에 대한 로비 여부까지 철저히 수사하기 바란다"며 "김진태 검찰총장부터 직(職)을 거는 각오로 리스트의 진실을 성역 없이 파헤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수사의 시발점” 시작된 검찰 수사에 잔뜩 기대하는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8일 <'성완종 리스트' 8인 중 홍준표 첫 소환> 제하의 기사에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지난달 9일 경향신문 인터뷰와 자필 메모를 통해 여권 실세들에게 금품을 제공했다고 폭로하고 목숨을 끊은 지 한 달 만에 금품 수수 의혹을 받는 당사자 8인 가운데 처음으로 소환자가 나왔다"며 "성완종 리스트의 실체가 검찰 수사로 확인되기 시작한 것"이라 평가했다.

이어 검찰이 윤승모 전 경남기업 부사장과 한장섭 당시 경남기업 재무담당에 대한 수사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분석했다고 지적한 경향신문은 "수사팀은 "조사가 순조롭게 이뤄졌다"며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보였고, 홍 지사는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향신문은 홍 지사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기로 내부 방침을 전한 검찰의 소식을 전하면서 "성 전 회장 폭로 내용 전반에 한층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홍 지사에 대한 검찰 조사가 '성완종 리스트' 수사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 분석한 것이다.
<뉴스파인더 이보연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70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