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4-12 20:46:22
기사수정

[뉴스파인더 홍범호 기자]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폐기를 촉구하는 세월호 유가족과 시민 2천여 명이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집회를 연 뒤 청와대로 행진을 시도하다 경찰과 충돌했다.

세월호 가족협의회와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 등으로 구성된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 등 2천여명은 (주최 측 추산 8000여명, 경찰추산 2500여명) 11일 오후 5시30분부터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억하라 행동하라 행사 및 정부 시행령 폐기 총력행동’ 문화제를 열었다.

이날 집회 참가자들은 “정부는 600만 국민이 만든 특별법 자체를 무력하게 만들기 위한 시행령을 발표했다”며 “세월호 선체를 인양해 실종자 9명을 완전 수습하고, 진상규명을 명확히 하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고 의무인 만큼 박근혜 대통령이 선체 인양에 대해 답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저녁 7시경 집회를 마치고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근처 도로를 점거한 채 “진상규명 반대하는 박근혜 정부 물러가라” “세월호를 인양하고 실종자를 가족 품에” “쓰레기 시행령을 폐기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청와대 방향으로 행진을 시도했다.

경찰의 8차례에 걸친 해산 명령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저녁 9시 50분 경 또다시 막무가내로 청와대 진입을 시도했고 이를 막아서는 경찰과 충돌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을 폭행한 혐의로 단원고 희생자 가족 등 20명이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위반 및 일반교통방해 혐의로 현장에서 연행됐다.

이 중에는 세월호 유가족 3명도 포함돼 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들은 경찰서 이송 뒤 신분 확인 후 석방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을 접한 상당수의 네티즌들은 “피해자임을 강조하며 불법을 저지른다. 과연 저들이 약자일까?” “분별력 잃어버린 사람들” “단지 도로교통법 위반죄로 시장과 국회의원이 체포되는 미국과 겨우 20명을 연행하고도 유가족 3명의 신분 확인 후 풀어준 한국경찰, 선진국과 후진국 차이” 등의 반응을 보이며 정치투쟁으로 변질돼 가는 세월호 1주기 직전의 모습에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뉴스파인더 홍범호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698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