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1-28 23:55:49
기사수정


2015년 1월 27일(화)오전 10시 국회정론관에서 국회의원 남인순과 전국가정폭력 상담소 협의회. 전국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협 의회 등의 공동 기자회견이 열렸다.

지난 1월 12일, 가해자 A씨는 별거중인 피해여성이 자신을 만나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피해여성의 전 남편과 자녀들을 인질로 삼아 하루 동안 감금하다 결국 무참하게 살해했다.

사건 발생 4일 전 피해여성은 경찰서에 찾아가 ‘가해자 A씨에게 흉기로 허벅지를 찔렸고, 예전부터 폭행을 당해왔는데 남편을 구속시킬 수 있느냐’며 도움을 요청했지만 민원상담관이 긴급한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안일하게 처리한 바, 결국 피해여성의 전 남편과 자녀가 무고하게 목숨을 잃고만 것이다.

본 사건의 피해여성이 도움을 요청한 곳은 안산상록서로, 지난해 11월 남편에 의해 살해 · 암매장당한 피해여성이 사망하기 전 여러 차례 신고했던 곳이다.

이에 지난해 12월 3일, 전국의 여성단체와 가정폭력 · 성폭력상담소, 보호시설들은 관련 경찰을 직무유기로 고발하였고, 경기지방경찰청에서도 징계위원회를 열어 경찰관 1명을 해임하는 등 5명에게 내부 징계쳐분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고발한 사건에 대해 진척이 없는 사이에, 그리고 징계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폭력사건을 안일하게 취급하는 사이에, 또 다시 우리는 소중한 생명을 잃고 말았다.

우리는 두 달도 채 지나지 않는 시점에서 또 다시 같은 경찰서의 잘못된 초동대응으로 가정폭력가해자에 의한 살인사건이 발생한 것에 극심한 분노를 느낀다.

우리는 지난 2012년 수원에서 112로 성폭력 피해를 신고한 건에 대해 “가정폭력인 줄 알았다”며 늑장 출동하여 결국 피해자를 살해당하게 한 사건을 기억하고 있으며, 가정폭력사건을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경찰에 대한 불만과 불신을 토로하는, 결국 피해사실을 침묵할 수밖에 없게 된, 수많은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기억하고 있다.

경찰은 1.3%를 기억하라. 조직의 수치와 뼈아픈 반성으로 기억하라.
1.3%는 가정폭력으로 경찰에 도움을 요청한 비율이다.
100명의 피해자 중 1명만이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그 한 명에게도 제대로 된 지원을 못 하고, 또 안 하는 현실, 그리하여 피해자가 무참하게 살해당하게 방치하고 있는 현실을 기억하라.

이것이 현재 우리 사회가 가정폭력을 대하는 방식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정폭력을 4대악으로 규정하고, 근절을 ‘선언’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전 국민에게 가정폭력예방교육을 실시하고, 가정폭력범죄를 신고하라고 독려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경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기도내에서 발생한 가정폭력 사건은 2013년 5,179건에서 지난해 5,394건으로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관이 지난 해 긴급임시조치를 한 건수는 243건으로 2013년의 268건보다 오히려 줄었다. 그만큼 경찰의 적극적인 현장개입이 줄었다는 것이다.

가정폭력은 가해자가 현장에서 체포될 때 재범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가정폭력이 ‘집안 일’이 아니라는 것,
‘개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국가가 몸소 보여줄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은 신고를 받은 경찰관이 즉시 현장에 나가 폭력행위를 제지하고, 가정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여 범죄수사에 임하도록 하고 있는 응급조치를 넘어, 출동한 경찰이 재범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할 때 가해자를 격리하거나 100M이내 접근금지를 취하도록 하고 있는 긴급임시조치를 넘어 체포우선주의를 즉각 도입해야 한다.

국가는 가정폭력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
해볼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라.

오늘 이 자리에 모인 전국의 여성단체는
가정폭력상담소와 보호시설은 슬픔과 분노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1. 가정폭력사건에 미흡하게 대처한 관련 경찰과 책임자 모두를 처벌하라!

2. 가정폭력가해자 체포우선제도를 도입하라!

3. 가정폭력가해자 상담조건부 기소유예를 폐지하고, 가해자를 처벌하라!

4. 경찰은 미온적인 가정폭력사건처리 관행을 철저히 반성하고, 가정폭력 업무체계를 전면 쇄신하라!

5. 정부는 실효성 있는 가정폭력근절 대책을 수립하고, 국민의 생명권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즉각 실시하라!

월드뉴스 기자 정 기 보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679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정기보 취재기자 정기보 취재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한민족 문화유산 보전회 회장
    박애단 회장
    푸른바다사랑 운동본부 회장
    해양경찰청 환경보전협의회 중앙회의원
    월드뉴스 환경스페셜 집필
    소상공 연합회 고문
    국회국정감사 NGO 모니터단 자문위원장
    서울포스트뉴스 시와 수필 산책집필
    詩 集 : 동트는 새벽. 여보 ! 당신은 힘. 編輯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