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잇따른 北 강경언동에 상황분석-대응책 논의
- 특이동향 없고 “대북기조 불변-일희일비 안 해”
북한 조평통이 정치-군사적 대결상태 해소와 관련된 모든 합의사항 무효화를 선언한데 대해 청와대가 상황을 분석해 대응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청와대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는 30일 “이번 성명은 지난 17일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 등 일련의 대남 강경언동과 같은 맥락”이라며 “현재 상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북한정권이 최근 자극적인 대남발언과 강경기조를 거듭 내놓고 있으나 우리정부와 미국에서 별다른 반응이 없자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의도로 파악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조평통은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선전선동기구로 인민군 총참모부와 성격이 다르다”며 “그러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북한의 의도를 분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정치적 의도에서 내놓은 성명에 일희일비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전제한 뒤 “우리정부는 진정성을 갖고 대화의 문을 열어 놓고 있으며 북한을 돕겠다는 기조 역시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이 남북기본합의서상 서해 북방한계선(NLL) 조항폐기를 선언한데 대해 청와대는 남북기본합의서가 일개 성명으로 파기할 만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군의 동계훈련으로 부대이동이 파악되고 있으나 통상적인 움직임”이라며 “최근 대남방송 용어가 거칠어지고 있지만 특이동향은 없다”라고 언급했다.
반면 그는 “국군은 지난번 인민군이 발표한 성명이 나온 이후 서해상을 비롯한 전방지역 경계태세를 강화하는 등 철저한 대비에 나서고 있다”는 점을 새삼 강조했으며 청와대 외교안보라인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보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대책회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인민군 성명발표 이후에도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감지되지 않고 있고 이상상황은 없다”며 “당장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기자 21cs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