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무슨 짓을 하고 있나?
- 대남공작총책 김양건이 나선 것은 6.15와 10.4 통일전선체 부활 흉계
북괴가 14일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위원회’ 명의로 “김대중 5주기를 맞아 18일 오전 8시경 개성공업지구에서 고위급 인사가 정중히 화환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우리정부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면서 이를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의 후신인 김대중재단에도 별도로 통지를 하였다.
이에 따라 김대중재단 부이사장을 겸하고 있는 새민련 박지원 의원과 전 국정원장 임동원, 김대중차남 김홍업 전의원, 김대중평화센터 사무총장 윤철구와 기획실장 박한수 등 5명이 ‘꽃을 받으러’ 17일 방북 길에 오른다.
북에서 나온다는 고위급인사가 ‘노동당’ 선전선동부장 김기남(85)이라는 설이 있었으나 한 때 숙청설이 나돌던 대남담당비서 겸 통일전선부장 김양건(72)이라고 한다.
이를 두고 일부언론에서는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트이게 될 것이란 성급한 관측을 내놓는 경우가 없는 게 아니지만, 일방적인 화환전달 제안의 시기와 형식 그리고 내용면에서 문제를 하나하나 짚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시기적으로 교황방한과 한미연합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훈련을 겨냥하고 김대중 5주기를 기해 조화전달이라는 명목으로 남북접촉의 기본 틀이 돼야 할 당국자 원칙을 흔들어 김대중 당시 南 아태평화재단(김대중재단)과 北 아태평화위원회(통일전선부) 간 6.15통일전선 부활을 획책하고 있다는 의심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둘째, 박지원과 임동원은 대북뇌물사건 주범으로 처벌받은 자들로서 북과 직접이나 간접 어떤 형태로든 접촉해서는 안 될 부적격인물들이다.
셋째, 노동당 대남담당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으로 대남공작총책인 ‘北 아태평화위원회’ 위원장 김양건이 화환 하나 때문에 南 아태재단(김대중재단) 부이상장 박지원과 임동원을 북으로 초치(招致)했다는 것은 ㄴ누가림에 불과하며 그 실은 북 아태와 남 김대중재단간 <통일전선 라인>을 점검 재구축 강화한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넷째, 북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김양건은 장성택과 함께 대한민국 제17대대선 선거일 20일 전인 2007년 11월 29일에서 12월 1일 2박 3일간 서울에 남파되어 노무현과 임동원 박지원 등과 면접(=회합)을 갖고 당시 국정원장 김만복과 대선정국을 점검하는 등 상층부통일전선에 상당한 실적을 올린 대남공작총책으로서 박지원과 재회는 사업총화, 조직검열, 새로운 임무지령 등 일종의 검열공작(?) 성격으로 비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우리정부가 제안한 고위급접촉 재개에 대한 즉답을 피하면서 김대중재단(아태재단)을 필두로 남한 내 친북성향 단체 및 개인을 재 결집, 6.15와 10.4 실천분위기 조성과 압력을 강화하기 위해 당국 간 통로대신 비당국간 접촉을 확대, 통일전선을 강화하여 우리의 국론분열과 우리정부의 대북정책의 파탄을 노리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여섯째, 2009년 5월 23일 노무현 자살당시 조전(弔電)과 8월 18일 김대중 사망당시 조문단파견 제안이 정부공식통로인 통일부, 적십자사, 판문점연락관을 제쳐두고 아태재단(김대중재단)으로 직접 전달 됐는가 하면 이번에도 김대중재단에 별도 통지가 있었다는 사실은 남북교류협력에관한법률 제9-2조 북한주민과 회합 통신 등 접촉 사전신고의무 위반 및 국가보안법 제8조 반국가단체와 회합통신 조항 위반과 다름없다는 점이다.
2000년 4월 북경비밀접촉에서 북괴 아태 부위원장(조평통부위원장) 송호경에게 대북뇌물 5억 $을 네다바이 당환 전력이 있는 박지원, 퍼주기 전도사 임동원, 그리고 퍼주기 본산 아태사무총장 김홍업과 김대중센터 간부들이 우선적으로 지켜야 할 것은 정부특사라도 된 양 착각하거나 오버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박지원 등의 역할은 ▲김양건이 전하는 말을 들은 대로 전달만하는 메신저와 ▲주는 꽃을 받아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북괴 김양건과 접촉내용을 사실대로 가감 없이 정부에 보고할 의무가 있을 뿐, 대북정책에 대한 사견(私見)이나 섣부른 언급을 피해야 할 것이다.
정부당국이나 국민도 개성공단폐쇄 장난질은 친 장본인인 김양건 따위의 뻔한 수작에 액면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거나 무게를 둘 필요가 없다.
우리에게서 제2의 김만복 따위가 또 다시 나와선 안 된다. 북괴에서 대남공작총책 통일전선부장이 아니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김정은이나 내각총리 박봉주가 직접 나서지 않는 한 당국자로 인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칼럼니스트 백승목>
<뉴스파인더/독립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