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농축산업,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키워가야”
- 농림수산식품부 업무보고..농축산업 경쟁력 강화 당부

[뉴스파인더 권순익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22일 "창의에 바탕을 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우리 농축산업을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키워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농림수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 "농수산축산식품 산업은 국민의 소중한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생명산업이면서 국가안전의 토대가 되는 안보산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새정부 국정과제인 국민행복을 이루는데 있어 농수산축산식품 산업 발전은 필수적인 과제"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또 "미래산업으로 발전하려면 우리나라에 맞는 미래산업의 육성과 세계 속에서도 뒤지지 않는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며 새 정부 농정의 3대 핵심축으로 △농축산인 소득 증대 △농촌 복지 확대 △농축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소득을 높이려면 농축산업을 가공·유통·관광을 아우르는 종합산업으로 변화시키고 육성해야 한다"며 "이미 몇몇 지자체에서 지역 특산물 수출에 성공한 사례가 있어 정부 차원에서 사업모델을 잘 연구해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농촌복지 확대와 관련, "보육과 교육여건이 좋지 않고 문화생활은 더욱 어려운게 우리 농촌의 현실"이라며 "농촌의 실상에 맞는 보육과 교육환경 개선, 의료ㆍ문화 환경 개선에 힘을 쏟아 농촌에 사는 것이 힘들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만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재난이 발생한 지역들을 방문해 보면 재해보험에 가입하고 싶어도 비싸서 가입을 못했거나 재해보험에 가입했다 해도 피해조사가 늦어져 고통을 당하는 일이 많았다"며 "(농작물) 재해보험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주길 바란다. 대상과 지역 등 보상범위의 확대도 세심하게 챙겨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밖에 "종자 산업은 세계적인 블루오션인데도 우리는 투자가 많이 부족하다"며 "종자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 종자가 해외에서 그 나라 것으로 둔갑해서 버젓이 유통되는 사례가 많지 않느냐"며 "새 정부에선 그런 일이 없어야 하고, 그동안 우리 종자에 대해 연구하는 분들과 지혜를 모아 새로운 종자산업의 출구를 찾아 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박 대통령은 "아이를 낳으려고 해도 산부인과를 찾아서 도시로 나가야 되고, 아이를 낳아도 보육과 교육여건이 좋지 않고, 문화생활은 더욱 어려운 게 우리 농촌의 현실"이라며 "농촌의 실상에 맞는 보육과 교육환경 개선, 의료 및 문화 환경 개선에 힘을 쏟아 농촌에 사는 것이 힘들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우리가 만들어가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