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태 회장 “安, 文 적극 지지해도 효과 미미”
- MBN 생방송 매일경제 출연해 이강윤 평론가와 함께 대선 흐름 분석

▲ § MBN 생방송 매일경제 '이슈를 말한다' 방송화면 캡쳐.
<뉴스파인더 서철민기자> 시사평론가 양영태 자유언론인협회장이 6일 MBN 생방송 매일경제 ‘이슈를 말한다’ 코너에 출연해 “문재인 후보가 안철수 전 후보에 그동안 너무 의존적이었다. 이미 지적한 것처럼 거기에서 탈피하지 않으면 문 후보가 딜레마에 빠질 것이라는 예측이 맞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 회장은 이날 출연에서 이강윤 정치평론가와 함께 문 후보 지지를 놓고 안 전 후보측 내부로부터 들리는 잡음 등 문-안 연대가 교착상황에 빠진데 대해 집중 분석했다.
양 회장은 “안철수측 내분이라기 보단 캠프 사람들도 정치적 마인드 있는 사람들로 생존 문제를 고민하고 있을 것”이라고 먼저 짚은 뒤 “안 전 후보는 이미 해단식에서 지지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그것으로 문 후보는 이제 독자적으로 가야하는데 너무 의존적”이라며 “거기에서 탈피하지 않으면 딜레마에 빠질 것이라는 예측이 맞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철수 현상의 거품은 일정 정도 꺼졌다”면서 “이번 대선에서 변화와 개혁의 욕구 분출은 됐지만 패러다임은 바뀌지 않았다. 이게 돼야 새정치가 시도 될 수 있는데 기존 과거 프레임, 똑같은 이념 프레임으로 귀속됐다”고 분석했다.
양 회장은 그런 측면에서 안 전 후보가 이제 적극적으로 문 후보를 지원해도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강윤 평론가 역시 비슷한 의견을 밝혔다. 이 평론가는 “박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우월인데 조금씩 벌어지고 있다. 어제가 심정적 분수령 같은 날이라고 본다. 오늘 야권 국민연대가 출범하지만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 나올 수 있겠지만 어제 모양새가 안 좋았다”면서 “뭔가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연기했다가 무산된 걸 보고 지지층은 ‘도대체 어떻게 되나’, ‘되도 이런 식으로 돼서야 되나’라는 심리적 이반감을 느꼈을 것이다. 안 전 후보 보좌그룹 쪽에선 전폭 지지하는 쪽과 기다리자는 쪽이 나뉘어 있는 것 같은데, 이런 말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 심정적으로 타이밍을 놓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양영태 “남은 변수는 TV토론, 문재인 홀로 서야” 이강윤 “TV토론과 돌발 변수 남아, 진보진영 정권교체론 의제화 실패 뼈아픈 대목”
한화갑 전 대표 등 동교동계 인사들이 박 후보를 지지하고 나선 데 대한 원인 분석도 이어졌다.
이 평론가는 “민주당에 실망했고, 민주당이 잘 흡수하지 못했던 구동교동계 일부가 차라리 보수쪽 새누리당으로 가버린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동교동계가 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한화갑, 한광옥, 김경재씨같은 분들은 민주당내 보수 성향인 분들”이라며 “특히 한화갑씨는 권노갑씨와 함께 양갑으로 불리면서 직언한 분이다. 이 분들이 새누리당으로 간 이유는 (지역적으로는 멀지만) 이념적으로 가까운 면도 있지만, 지금 민주당이 친노 프레임으로 화한 대한 적대감이나 저항감이 깔려 있다. 그래서 이념적 틀 속으로 가서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하신 게 아닐까 싶다. 박 후보에게는 통합적 상승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회장과 이 평론가는 안 전 후보의 지지강도라는 변수가 크게 영향을 끼치진 못할 것이라는 데 포괄적으로 동일한 의견을 보인 가운데 남은 기간 대선 변수도 짚었다.
양 회장은 “남은 TV토론인데 여기서 문 후보가 자기의 독자적 목소리를 내야 한다”면서 “이정희 후보가 정책적 아젠다로는 문 후보를 거들었지만, 이정희 후보에 묻히면서 오히려 역풍을 맞았다고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이 후보를 어떻게 견인하느냐, 어떤 장치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무리한 일이 또 연속될 수 있다”면서 “문 후보가 이제 내 힘으로 하겠다 독자 선언해야 된다. 대선 후보인데 안 전 후보의 의존체가 되는 모습은 곤란하다. 강인한 리더십 면모를 보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평론가는 “TV토론 외에도 투표율과 대북문제에 있어서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심리적 요인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며 “보수진영은 박세일 전 서울대 교수 합류로 보수대연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반면, 진보진영은 13일 밖에 남지 않았는데 지지부진하고 또 새로운 의제 설정이 힘들어 보인다. 익히 보아왔던 보수와 진보 프레임으로 가게되면서 우발적이고 돌발적 변수가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진보진영이 정권심판론의 열기와 요구를 의제화 하는데 실패했고, 이게 선거판에서 사라졌다는 게 미스테리한 대목이자 뼈아픈 대목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스파인더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