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경선방식, 대의원ㆍ당원 더 고려했어야”
- “이정희, 경기동부연합 구조 못 벗어나”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는 5일 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완전국민경선제 방식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 “당을 생각했으면 대의원과 당원의 비율을 고려해 줬어야 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모바일 투표에 문제가 많아 다음에는 수정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 방식이라면 당비를 낼 이유가 없지 않느냐. 좀더 배려했어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완전경선을 거부해서 우리의 완전국민경선이 호소력이 있었다”며 “우리가 룰을 만들 때 정세균 후보쪽만 반대했고 다른 후보들은 반대하지 않았다. (앞으로는) 좀 더 배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나는 모바일투표 결과를 지역별로 발표하는 것도 반대했지만 일부 주자들이 요구했다”며 “지방 연설회 이전에 모바일 투표를 하는 것도 결선투표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특정세력의 모바일투표 개입설에 대해서는 “투표자가 100만명이 넘으면 미권스 등의 조직이 안 통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경선갈등이 지도부 책임론으로 비화됐던데 대해 “어딘가 화풀이는 해야 할 것 아니냐. 다만 화풀이 방식이 좋지 못한 것”이라며 “나도 대표 선거때 1, 2순위표에 같은 가치를 준 것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했지만 (문제제기를 하면) 속좁은 사람이 되니 그냥 갔다”고 말했다.
더불어 제주ㆍ울산 모바일 투표에서 일부 유권자에게 당규에 규정된 5회 통화시도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문제 제기에 대해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전화를 받을 때까지 5차례 가도록 돼 있다”며 “가긴 갔는데 수신을 안 했거나 수신을 거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조만간 대선에 출마할 것으로 알려진 통합진보당 이정희 전 대표에 대해서는 “그동안 높게 평가했었다”며 “개인적으로는 자질이 우수한데 경기동부연합의 구조를 못 벗어나는 것 같다. 법리에 밝고 성실하던데 일종의 조직논리를 못 벗어나면 곤란한다”고 말했다.<뉴스파인더 박남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