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통진당 지지 전면 철회
- 탈당 가시화…신당 창당 지지 미지수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영훈)이 14일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전면 철회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 13층 대회의실에서 ‘제13차 중앙집행위원회(중집위)’ 회의를 열고 재석 표결권자 39명 가운데 27명의 찬성으로 이같이 결정했다.
민주노총은 전날 오후 2시부터 총파업, 위원장 직선제 선출 등 5개 안건을 놓고 마라톤 회의를 거쳐 오후 10시가 돼서야 ‘통진당 관련 후속조치’ 안건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1시께 장장 11시간에 걸친 회의를 마치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앞선 중집위 결정에 의거해 현재의 통합진보당은 노동중심성 확보와 1차 중앙위 결의 혁신안이 조합원과 국민적 열망에 부응하는 수준으로 실현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며 지지 철회 이유를 밝혔다.
이어 중집위는 “당내 이해와 무관한 민주노총의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의 지지 철회 배경에는 지난달 26일 통진당 의원총회에서 이석기, 김재연 의원에 대한 제명안이 부결되면서 당 혁신안이 표류하고 사실상 분당사태로 접어든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민주노총의 정치 방침에 대해선 지난 5월 만든 새정치특위(새로운노동자정치체력화특별위원회)를 비롯한 조직 내 의사결정 구조 속에서 토론하고 대의원 회의를 통해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의 지지 철회로 통진당은 집단탈당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신당권파의 신당 창당 움직임 또한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통진당의 최대 기반세력으로, 통진당에서 당비를 내 투표권이 있는 진성당원 7만5천명의 46%에 달하는 3만5천여명이 민주노총 조합원이다.
다만 민주노총의 지지 철회가 곧바로 신당 창당 세력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진당 이정미 대변인은 민주노총의 지지철회 발표 직후 브리핑을 갖고 “오늘 이 순간 통진당은 진보정치의 뿌리였던 노동대중의 정치세력화를 실현할 수 없다는 선고를 받았다”며 “참담하고 비통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통진당에 대한 매서운 결정 앞에 진보정치가 진정 새롭게 거듭날 수 있는 길을 빠른 시일 안에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파인더 박남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