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8-12 22:48:43
기사수정

[뉴스파인더 권순익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10일 헌정사상 처음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독도 방문을 통해 해묵은 영토 분쟁이 종지부를 찍고 독도는 우리의 영토임을 천명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 일본이 2012년 방위백서를 내고 지난 2005년부터 8년 연속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며 지속적으로 영토 도발을 하는 상황에 대해 실효적 지배를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런 이 대통령의 방문에 대해 일본 정부는 즉각 반박하며 주일 대사를 불러 항의 하는 것은 물론 주한 일본대사를 소환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일본 자국의 정치 불안으로 인한 공백과 '미래지향적인 양국관계를 위한 해묵은 난제 정리'라는 우리 정부의 요구를 번번이 묵살한 것이 화근이 됐다.

이 대통령은 평소 외교 문제와 경제발전을 위한 외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시했다. 이 두 가지는 이명박 정부가 가장 큰 열정을 쏟고 심혈을 기울인 부분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본은 이 두 가지 원칙에서 예외였다. 경제협력 보다는 과거사 문제 정리를 더 강조했고, 외교적인 마찰도 마다한 채 강경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런 모습은 지난해 일본 교토 영빈관에 가진 이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이례적으로 "경제 문제 이전에 과거사 현안,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얘기 해야겠다"고 말하며 경제협력을 주장하는 노다 총리의 요구를 흘리고 과거사 정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평소 경제 살리기에 매진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그만큼 이 대통령은 '양국이 양국의 미래와 발전을 위해서는 협력해야하고, 이를 위해서 과거사 문제를 깨끗이 정리해야 한다'는 소신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양국간 중요문제로 대두되던 위안부와 평화비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아마 일본 정부가 조금만 관심을 보였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다. 성의 있는 조치가 없으면 할머니가 돌아가실 때마다 제2, 제3의 동상이 세워질 것"이라고 일본 정부의 성의 있는 대책을 촉구했다.

하지만 일본은 이런 우리의 요구를 묵살하고 명확한 답변을 거부하며 매번 자국의 교과서와 방위백서에 독도는 자국의 영토라고 뒤통수를 치니 이 대통령이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런 것을 잘 아는 일본의 아사히신문은 이 대통령의 독도방문이 양국 간 관계악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일본군 위안부나 강제징용자 보상 문제에 대해 일본이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않아 한국 측의 불신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자성과 반성을 일본 언론에서 촉구한 것이다. 이제 일본이 이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 답할 차례다.
<뉴스파인더 권순익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384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