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결선투표 바람직하지 않아”
- “盧정부 실패 규정, 民 정체성 맞지않다”

민주통합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은 16일 대선후보 경선룰과 관련, ‘비(非) 문재인’ 후보 측이 결선투표제 도입을 요구하는 데 대해 “담합이다.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문 고문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표’에 출연해 “결선투표제는 결국 완전국민경선제, 대규모 모바일 선거인단 참여에 의한 경선투표를 사실상 반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선후보로 나서는 선수들이 서로 담합해서 경선룰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겠다고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경선이 축제처럼 되기 위해서는 완전국민경선으로 치러야 한다는 대원칙에 관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경선룰을 만드는 기획단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구성돼 있고 최고위원회 구성도 여러 세력에 잘 안배돼 있다”며 “거기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마련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제안한 공동정부론이 아직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며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모야야 한다는 게 국민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문 상임고문은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측이 경제민주화를 공약으로 내세운데 대해 “경제민주화가 화두가 되니 자기들도 간판만 걸고 있다”며 “김종인 교수가 박 전 위원장에게 경제민주화를 말하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더불어 손학규 상임고문이 ‘반성없이 돌아온 참여정부로는 안된다’고 비판한데 대해서는 “참여정부를 실패한 정부라고 규정하면 민주당 정체성에도 맞지 않다”며 “다만 참여정부가 부족했던 부분들을 알게 됐기 때문에 잘못된 부분조차도 제가 오히려 더 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park@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