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역선택에 또 당하라구?”
- 역선택이 불가능하다는 멍청한 소리는 바로 이적행위나.

역선택 100%, 정략적 오픈프라이머리 가당찮다.
새누리당이 경선룰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다. 갈등의 원인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재오, 정몽준, 김문수 등 비박주자들이 현재의 경선룰, 즉 당심과 민심을 5대5로 반영하는 경선규칙을 폐기하고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비롯된 것이다.
비박주자 세사람은 현재 박근혜와 당지도부를 향하여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경선에 불참하겠다고 협박하면서 강경하게 버티고 있다. 이미 경선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킨 당 지도부는 따로 기구를 만들어 경선룰에 대해서 계속 논의하자는 상황이다.
필자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이다. 오픈프라이머리 제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쟁점사항들이 있지만, 특히 조직동원과 역선택의 맹점을 해소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 정치문화와도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 정치가 과거보다는 많이 깨끗해졌다고는 보지만, 아직 정치문화가 성숙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당정치는 여전히 취약하고, 국회는 폭력이 난무하고 살벌하다. 당내 민주주의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이번 총선때 야권의 후보단일화 경선이나 통진당의 경선에서 보듯이 선거부정을 태연히 자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당과 야당, 그리고 정치인들의 경쟁과 대립은 ‘너죽고 나살자’식으로 툭하면 극한으로 치닫을때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조직동원과 역선택의 허점을 낙관적으로 보는 사람이 오히려 이상하지 않는가. 2007년 현재의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과정에서 정동영 후보는 조직동원의 진면목을 보여주었지 않았는가. 또 안철수가 왜 민주당경선에 참가할 가능성이 제로이겠는가. 조직동원으로 떨어질게 뻔하니까 그런 것이다.
완전국민경선제를 찬성하는 쪽에서는 수백만명이 투표에 참여하므로 수십만명을 동원하지 않으면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조직동원과 역선택의 엄두를 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수백만명이 투표에 참여한다는 것은 순진한 가설에 불과하다. 대선도 아닌 당내후보 선출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생업에 바쁜 수백만명이 현장투표에 참가한다고 전제하는게 어이없다. 또한 민주당처럼 논란이 되고있는 인터넷투표, 모바일투표를 시행할 것인가 문제도 등장한다.
새누리당이 만일 완전국민경선제를 시행한다면 현재 지지율이 가장 높은 박근혜 후보에게 정치적 타격을 가하기 위하여 민통당, 통진당, 야권의 모든 좌파단체, 종북단체들이 벌떼같이 달려들 것이다. 박근혜가 상처를 입고 야당이 대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있다면, 무슨 짓인들 못하겠는가. 이래서 역선택이 불가능하다는 멍청한 소리는 바로 이적행위나 다름없다.
오픈프라이머리는 우리나라에서 당심과 민심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제도이다. 지지율 1%대에 머물고 있는 비박주자 3인방이 노리는게 바로 민심의 왜곡 아니겠는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높이기 위한 정략적인 제도이기에 줄기차게 밀어붙이고 있는 것이다. 완전국민경선제가 마치 정치개혁인 것처럼 호도하면서 말이다.
현재의 경선규칙은 2007년 대선때 박근혜 후보가 자신에게 불리함을 감수하면서까지 개정된 경선룰이다. 이제와서 MB계의 이재오를 비롯한 비박주자들이 이를 폐기하자는 것은 정치 도의적으로도 맞지 않는 말이다. 무엇보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느닷없이 폐기처분하자는 것은 정말 비신사적 언행에 다름 아니다.
기존의 경선룰에서도 시민들의 참여확대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새누리당은 현재 민심을 바로 읽고 민생에 전념하는 한편, 정권재창출을 위해 겸허하게 최선을 다해야 할 때이다.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민생을 요구하고 있고, 특히 야당과 종북세력과의 싸움에도 시간이 모자라는 판에 뒤에서 협박질이나 해대고, 뒷다리나 잡는 이적행위는 당장 그쳐야 옳을 것이다.
<프런티어타임스 박희경기고논객(www.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