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대선후보, 지도부 1년전 사퇴 규정 바람직”
- “現 경선 방식, 심각한 문제 생길수도“

민주통합당 추미애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은 13일 “대선후보가 대통령 선거 1년 전 지도부에서 사퇴하도록 한 현행 규정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추 기획단장은 이날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은 이미 정해진 룰 아니냐. 룰을 지키는 게 공정성을 담보하는 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룰이 풀리면 대선후보 경선에 뛰어들겠다는 사람도 있지만, 이미 룰에 따라 경선을 준비하는 사람도 있다”며 “기술적인 문제, 표현적인 문제를 수정하는 것을 빼고는 룰을 지키는 게 원칙에 맞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같은 규정이 유지된다면 지난달 4일까지 최고위원을 지낸 김부겸, 문성근 전 의원과 박영선, 이인영 의원 등은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된다.
당 안팎에서는 경선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이 규정을 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지난해 12월 지도부에서 물러난 손학규, 정세균, 정동영 상임고문 측은 이 같은 움직임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공정하게 룰을 만들고 당 안팎에 있는 후보들이 함께 참여해 시너지를 내는 방안에 마음이 가 있다”며 이른바 ‘원샷 경선’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반면 이해찬 대표는 당내 후보를 먼저 뽑은 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등 외부 후보와 단일화하는 이른바 투샷경선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경선 시기에 대해서는 “공정성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룰을 확정하려고 한다”며 “7월에 집중 논의해서 룰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만약 7월에 룰이 만들어진다면 런던올림픽이 끝나는 8월 중순 이후 경선을 실시할 수 있다. 안 원장이 경선에 참여할 경우 10월 중에 최종 후보를 선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투샷 경선’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11월이나 돼야 후보가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모바일투표에 대해서는 “대선후보 간 미팅을 통해 부작용을 알린 뒤 동의를 구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긍정효과가 부정효과를 상쇄한다고 보고 도입하겠다고 하면, 문제가 생겨도 수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번 전대에서 후보자가 뛰고 있는 와중에 선거인단 확정 등의 룰을 만들다보니 문제가 발생했다”며 “지금 같은 방식으로 경선을 진행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먼저 변하지 않는 룰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park@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