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6-07 11:22:53
기사수정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 정권 추종 세력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6일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려는 어떤 자들도 우리 대한민국 국민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파괴하려는 자들도 있다"고도 했다.

이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현충일 추념사로 충분히 할 수 있는 원론적 언급이라도 평가도 있지만 최근 정치ㆍ사회 상황과 맞물려 민감한 발언으로 받아들여진다.

현재 통합진보당 이석기ㆍ김재연 의원과 민주통합당 임수경 의원의 국가관과 대북관을 둘러싸고 이른바 `종북세력' 논란이 뜨겁다.

국회에서는 논란에 휩싸인 의원들을 제명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는 등 비판이 비등한 상황이어서 이 대통령이 우회적으로 여기에 가세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종북세력을 겨냥한 이 대통령의 발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어서 이날 추념사를 더욱 예사롭게 보기는 어렵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라디오 연설에서는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반복하는 우리 내부의 종북세력은 더 큰 문제"라고 취임 이후 처음으로 종북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리며 직격탄을 날렸다.

또 5일에는 국가 유공자 유족들을 만나 "대한민국을 부정하려는 세력이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에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시아 지역 자문위원을, 4일에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군 수뇌부를 청와대로 초청해 연일 북한 도발과 개방ㆍ개혁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하는 등 부쩍 안보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야권이 `색깔론'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데도 물러서지 않고 작정한 듯이 몰아붙이는 형국이다.

이를 두고 대선 정국을 앞둔 상황에서 이념 노선을 뚜렷이 함으로써 안보 문제를 쟁점화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지난 4년여 동안 중도ㆍ실용주의를 표방하며 이념이나 정치적 발언은 되도록 하지 않아온 것과 대비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종북ㆍ친북세력에 대한 국민의 시선이 곱지 않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철통 같은 안보태세로 한반도 평화를 수호하고, 어떤 도발에도 준엄하게 응징할 것"이며 북한 도발에 대한 경고도 빼놓지 않았다.

북한이 국내 몇몇 주요 언론사를 거론하며 공격 위협을 하는 등 사회 불안과 남남갈등을 고조시키려는 전략을 구사하는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동시에 오랜 고립에서 벗어나 개혁ㆍ개방 정책으로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기 시작한 미얀마의 선례를 언급하고 "어느 누구도 거역할 수 없는 역사적 흐름"이라고 북한의 변화를 촉구했다.

<뉴스파인더 문수홍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35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