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국회강화를 위한 개헌제의.
- 새로운 이슈 만들어 몸값(?) 올리기 시작
새누리당 대권도전을 선언한 정몽준 전 대표가 13일 여의도 당사에서 정책공약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 대표는 이 자리에서 "개헌을 한다면 목적은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하는데 맞췄으면 하는 것이 저의 생각"이라고 말해 국회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개헌에는 찬성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특히 정 의원은 "저는 대통령의 권한을 국회로 분산시키고 국정운영을 투명하게 해서 여야 모두로부터 견제와 협력을 받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장관 등 국회 청문회 대상인 고위직을 임명할 때 국회 상임위의 의결을 거치고, 국무총리의 장관 임명제청권을 반드시 지키겠다"며 "국회의 예산심의권을 강화하는 한편 개헌을 통해 예산편성권 자체를 국회로 넘기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개헌을 통해 현재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감사원을 국회로 이관하도록 하겠다"고도 했다.
정 대표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4년 중임제에 대해 묻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4년 중임제는 대통령의 임기를 연장하는 것으로, 과연 국민이 원하는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고 지적해 박위원장과 다른 의견을 내비쳤다.
그는 미국의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예시하며 "`아버지' 부시 대통령의 자서전을 보면 그가 첫 임기 4년간 아침에 1시간 이상을 지지자에게 편지를 쓰는데 할애했다. 첫 임기 4년을 일할 수 있겠느냐"며 "4년 중임제의 장단점을 우리가 잘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대표는 정당운영의 투명성을 강조하며 “통합진보당은 이번 총선의 비례대표를 정하는 규칙ㆍ원칙을 정했는데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의 경우는 비례대표를 어떻게 정했는지 당원이나 국민이 아는지 궁금하게 생각된다"며 "새누리당의 어떤 비례대표 후보가 1번이고, 24번인지 설명이 없었다. "고 비판했다.
정당 개혁과 관련해서는 *중앙당과 당대표제 폐지 *상향식 공천제도 도입과 비례대표를 포함한 모든 공직후보 추천과정 공개 *국회의원과 대선 후보 선출에 대한 완전국민경선 방식을 도입을 제의했다.
<칸투데이 전형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