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4-29 05:39:18
기사수정
서울시는 지난달 5일부터 31일까지 26일 간 1~9호선 지하철 부정승차를 단속한 결과, 총 3,894건의 부정승차를 적발하고 1억8천만원의 부가금을 징수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시와 지하철운영기관은 공정한 대중교통 이용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1~9호선 지하철 개통 이래 처음으로 ‘지하철 부정승차 일제단속’을 실시했다.

이번 적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적발건수 3배 이상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표 없이 승차’가 8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이 398건(10%), 어린이 교통카드 부정사용이 262건(7%) 등의 순으로 적발됐다.

이번 부정승차 단속에 적발된 사람 중 가장 많은 부가금을 낸 사람은 57,350원으로, 표 없이 지하철을 타고 수원에서 종로까지 이동한 ‘구간요금(1,850원)’에 ‘구간요금 30배(1850원×30)’를 더한 금액을 납부했다.

부정승차 적발이 가장 많은 역은 7호선 철산역으로 1달 간 총 125건이 적발됐으며, 다음으로 5호선 강동역 114건, 7호선 논현역 108건이 뒤를 이었다.

단속에 적발된 사람들은 ‘표를 구입해 탑승했으나 분실했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교통카드를 태그했는데 정상 처리가 되지 않았다’, ‘무인발매기 이용방법을 몰라 하차역에서 운임을 지불하려 했다’는 등의 핑계를 댄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철운영기관측은 부정승차로 적발된 경우, 강력하게 결백을 주장하거나 안타까운 사정을 이야기하더라도 적법한 절차에 따라 동등하게 처리하기 위해 적발된 모든 사람에게 부가금을 부과했다.

이번 단속은 부정승차가 자주 일어나는 출퇴근시간대, 평일과 주말 낮 시간대(15시~19시)에 역무원과 공익근무요원 등을 집중 배치해 실시했다.

지하철운영기관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의식전환을 위해 상시적으로 부정승차 관련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승강장 전광판 및 현수막 등을 통해 일제․수시단속을 알림으로써 상습적으로 부정승차를 일삼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환기 시켜줄 계획이다.

서울시 이병한 교통정책과장은 “공정한 대중교통 이용문화를 어지럽히는 ‘지하철 부정승차’는 장기적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법행위”라며 “앞으로도 수시로 부정승차 단속을 할 예정이니 신분에 맞는 요금을 내고 정당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park@newsfinder.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334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