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언론장악’ 외치는 좌파언론의 ‘여론장악’
- 편향된 보도하지 말라더니… ‘귀 막고 외치기’

▲ 오룡 화백의 <판도라 상자- 너희가 선배다>
좌파언론들이 민간인사찰 대상에 언론인이 포함됐다는 점을 지목하며 일제히 ‘방송장악 음모가 만천하에 드러났다’는 취지의 보도와 논평을 쏟아내고 있다.
한겨레는 10일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음모”라는 제목으로, 경향은 “방송장악·파업 악순환 고리 끊으려면”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칼럼과 사설을 냈다.
이들은 민간인 사찰 대상 중 언론인이 있었다는 점을 지목하며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이 사실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향은 “언론장악의 증거가 나왔다고 이제 와서 이 정권이 반성으로 돌아설 것 같지는 않다”라고 기정사실화 했다.
이미 좌파언론 대부분은 이를 전제로 해 과거 음모설로 떠돌던 이야기들을 나열하며 사례인양 보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간과하거나, 숨기고 있는 사실이 있다고 주장했다.
KBS 새노조가 밝힌 민간인 사찰자료중 80%가 노무현 정부때 자료라는 것은 이미 주장이 아니라 팩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간인 불법 사찰을 문제제기하면서 2,600건이 모두 이명박 정부인양 보도한 것은 의도적으로 이명박 정부를 흠집내기위한 술수가 아니냐는 게 정치권 관계자의 말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이를 부정하고 있는 이들 언론이야말로 여론 장악이나 다름 아니다. 경계가 모호한 감찰과 사찰을, 자신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맞게 양념하고 재정립하는 부분은 좌파언론의 여론장악 술수와 비양심이 극에 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기 코드에 맞는 민간인 사찰만 보도하는 꼼수로는 후에 모든 사실이 밝혀진 다음 화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본인들이 공정방송 운운하며 이명박 정부의 편향 방송을 문제 삼았지만 정작 이들 좌파언론들이 좌편향 언론임을 자인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고 비꼬았다.
현 정권과 전 정권의 사찰문건 전체를 특검하자는데 이를 반대하는 건 다름 아닌 노무현 정권에서 총리직을 수행했던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다. 그럼에도 전국언론인노조 등 좌파언론은 검찰의 철저한 수사만을 촉구하고 있다.
이를 두고 온라인의 한 네티즌은 “눈 감고, 귀 막고 자기들이 생각하는 대로만 외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다른 네티즌은 “당연히 어느 정부나, 어느 나라나 국가적 차원에서 개인사찰이 있는 것은 벌써 부터 알고 있었지 않나? 노무현 정부사찰은 공무원기강확립용이고 이명박정부사찰은 민간사찰-불법사찰이라는 것은 아주 억지스럽다”고 글을 남겼다.
민간인 불법사찰 대상에 언론인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을 유추해내는 좌파언론의 추리가 꼭 들어맞지는 않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온라인상에서는 노무현 정부때부터 있었던 언론인 불법사찰이라면, 좌파언론들이 주장하는 대로 이번 정부만의 ‘특별한 음모’라고 보기 어렵다는 논리다.
한 네티즌은 “인터넷을 장악하고 있는 좌파 매체들로 인해 국민들은 쉽게 선동당하고 드러낸 모습만 받아들이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우려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인터넷 팟캐스트 ‘리셋 kbs 뉴스9’을 통해 정확히 확인되지도 않은 문건들을 공개하면서 마치 사찰이 현 정부 기간에만 있었던 것으로 국민들이 오인하도록 만든 KBS 새노조의 책임은 막중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자기 입맛에 맞는 편향된 기사에 대해서 “국민의 알권리를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좌파언론들의 뻔뻔함은 이미 극에 달했다”고 평가했다.
<뉴스파인더 최원영 기자 lucas201@newsfinder.co.kr>